일본 대표 소설가인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어떤 성향의 작품을 썼나요?
일본 문학가들은 매우 섬세한 표현으로 유명한데요. 이는 일본 문화와 국민성과도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일본 소설가 중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어떤 성향의 작품을 썼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1968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작가입니다.
1926년 '이즈의 무희'를 발표해 작가적 명성을 얻었으며, 단편집 <감정 장식>을 출간하여 본격적인 작가의 길을 걷게 됩니다. 한동안 서양문학의 영향을 받아 각종 실험적인 문학을 발표하였었으나 결국 일본적인 것으로 돌아와 일본적이라면 무엇이든 위대하고 좋은 것으로 찬미하는 성향을 보였습니다.
그의 일본적인 것의 최고 정점이자 대표소설은 <설국>입니다.
그는 섬세한 미의식과 감각적인 문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소설이지만 시적인 느낌을 많이 주는 작가였습니다. 그의 사상이자 분위기는 허무주의에 가까웠고, 그는 자살하였는데 일본 문단에서는 그의 죽음을 '허무의 끝에 도전한 표현의로서의 자살'이라든지 '죽음으로 작품을 완결시켰다'라든지 미화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1968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며 일본에게 최초의 노벨상을 안겨준 인물로 유명한 작가입니다. 또한, 그 유명한 「설국」의 첫 문장인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눈의 고장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얘졌다. 신호소에 기차가 멈춰 섰다"로 아주 유명한 작가입니다.
그는 일찍이 부모를 잃고 15세 때 10년간 함께 살던 조부마저 지병으로 세상을 떠나 외로운 어린 시절을 보내야 했습니다. 그로 인해 생겨난 허무와 고독, 죽음에 대한 집착은 그의 작품에서 근본적인 위치를 차지합니다. 그러나, 그는 죽음을 단순히 소멸로 그리는 것이 아니라 죽음의 순간을 미적으로 승화시키고자 하였고, 죽음으로 삶의 아름다움이 더욱 깊어지는 것이라 생각하였습니다.
또한, 그의 문학을 논할 때 빠지지 않는 요소는 바로 미에 대한 집착인 탐미주의가 되겠습니다. 그는 감각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였고, 특정 인물이나 자연, 사물까지도 매우 섬세하게 묘사였습니다. 그의 언어들은 번역에 의해 다른 언어로 옮겨져서도 그 아름다움을 잃지 않아 노벨상 수상에 아주 큰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습니다. 스웨덴 한림원이 밝힌 야스나리의 수상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인데, 그중 하나가 "자연과 인간의 운명이 가진 유한한 아름다움을 우수 어린 회화적 언어로 묘사했다"입니다. 그의 미문의식은 그의 문학을 상징하는 말이 되었습니다.
다음으로,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것(일본 문화)과 연관이 있는 요소로, 일본 전통의 미의식입니다. 그의 작품 속에는 일본의 자연, 풍경, 문화 등이 섬세하게 묘사되어 있고, 일본 특유의 전통적인 미의식과 감수성이 드러납니다. 이를 통해 그는 일본으로 대표되는 동양적 미의식을 서양에 소개했고, 이는 한림원이 밝힌 야스나리의 두 번째 수상 이유("동양과 서양의 정신적 가교를 만드는데 기여했다")에서 드러납니다.
마지막으로, 그의 작품은 몽환적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이는 현실과 비현실을 뒤섞어 독자들로 하여금 현실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며, 그의 작품을 더욱 깊게 만들어 줍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노벨상 수상에 빛나는 일본의 거장 川端康成는 역시 질문자님의 묘사대로 섬세한 그 표현이 멋진 雪の国(60년대에 노벨상 수상에 빛나는 선구적 작품입니다.), 伊豆の踊子 등을 저술하며 특히나 그 자연속에 융화된 인물들의 대사와 행동하나하나가 정말 극치에 빛나는 문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설국의 문장 하나하나를 읽다보면 정말 논속에 기차가 다니는 그 장면 속에 독자가 들어와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주며, (또한 90년대 인기작 Love Letter의 그 영화장면도 생각납니다...) 이즈의 무희를 읽고 있자면 마치 갑자기 백석이 되어 가키사키의 그 바다를 바라보는 이즈반도가 고해상도의 3D로 눈앞에 펼쳐지는 그 느낌을 주는, 자연과 인간의 그 섬세한 조화가 돋보인다고 하겠습니다.
: 특히나 가장 인상적인 오프닝 문장 중 하나겠는데, - 국경의 長いトンネル을 빠져나오자 눈의 나라였다.... - 는 Anna Karenina의 - 행복한 가정은 모두 다 같은 이유로 행복하고 불행한 가정은 모두 다른 이유로 불행하다.... - 등과 버금가는 명시작구라고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