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부모와의 대화를 거부한다면 어떻게 소통해야 할까요?
어린줄로만 알았던 아이가 사춘기가와서 부모님들과 대화를 거부하고 방에만 틀어박혀 있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요. 이럴때면 어떻게 하면 아이와 소통의 창구를 다시 열 수 있을까요?
사춘기에 접어든 아이가 대화를 거부한다면 어떻게 소통해야 하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평소 아이가 컨디션이 괜찮을 때 대화를 시도하면 될 것 같습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
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로 나올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
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아이는 간섭한다고 생각하여 서로간의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이해하고 공감해준다면 아이도 마음을 열고 대화를 하려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춘기 시기의 소통 문제는 많은 부모님들이 겪는 어려움입니다. 먼저, 이는 정상적인 발달 과정의 일부임을 이해하세요. 아이는 독립성을 키우는 과정에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아이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해주세요. 강제로 대화를 요구하기보다는, 아이가 준비되었을 때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두세요. 그리고 일상적인 대화부터 시작하세요. 학교생활, 친구관계, 취미 등 가벼운 주제로 대화를 시도해보세요. "오늘 학교에서 재미있는 일 있었니?"와 같은 질문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의 관심사에 관심을 보이세요. 좋아하는 음악, 영화, 게임 등에 대해 물어보고 함께 즐겨보세요. 이를 통해 공통의 대화 주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
비언어적 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세요. 때로는 말 없이 함께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큰 위로가 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해주세요. "네가 지금 힘들어하는 것 같아. 내가 도와줄 수 있는 게 있을까?"라고 물어보세요.
부모님의 경험을 공유해보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는 사춘기에 접어들면
예민함과 민감함이 폭발 하게 됩니다.
그리고 자신의 마음과 달리 행동을 하고 언어를 내뱉게 되면서 어떻게 대응을 하고 대처를 해야할지 난감한 상황에 놓이기도 하지요.
아이가 사춘기에 접어 들었다면 아이를 억지로 가족과 대화에 참여를 시키긴 보단 아이의 감정을 먼저 헤아려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에게 가볍게 오늘 하루 어떻게 보냈어 라고 말을 전달하면서 아이와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정기적으로 함꼐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함께 운동하거나 외식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대화기회를 가지세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하세요 아이가 대화하기를 원하지 않을떄는 억지로 대화하려하지말고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주세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대화의 수가 적어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아이가 이 시기에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고 독립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부모와의 거리가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부모와의 건강한 소통은 중요합니다
아이가 대화할 때 비판이나 판단없이 경청해주는 것이 좋을 거 같아요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주세요
아이가 만약 실수를 하더라도 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인다면 아무래도 더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을 겁니다
무엇보다도 아이가 대화할 준비가 되어있을 때 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사시간이나 차를 타고 가는 중 자연스러운 상황을 만들어보시는 것도 추천드려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최대한 존중해 주세요
최대한 비판을 줄이고 경청의 자세를 취해 주세요
식사나 산책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항상 믿고 지지하는 가족이 있다는 것을 인식 시켜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