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민상담

연애·결혼

압도적으로편식하는키위
압도적으로편식하는키위

예비시댁 (예비사돈) 증조부상 조의

내년 결혼예정이고 한달뒤 상견례 예정입니다.

오늘 예비신랑의 증조할머니가 돌아가셨는데요. 상견례를 한달 앞두고있어서 조의를 해야하는데, 제가 아버지가 일찍돌아가셔서 어머니만 계시는데 장례식에 어머니와 함께 참석해야할까요? 저만 참석하는게 맞을까요?(장례식장과 같은지역이고, 평소 저와 예비신랑만 양쪽집에 왕래가 있었고 양가 어른들은 아직 한번도 서로 대면하신 적이 없습니다.)

저희 어머니가 부조를 하게된다면 봉투에 ㅇㅇㅇ(제 이름)모친으로 기재하면 될까요?? 금액은 30만원 정도가 적당할까요?적은 금액일까요?(3년 전 예비신랑 외증조할머니 장례식땐 지역도 멀고 아직 결혼얘기가 오가지 않아서 조화만 전달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오늘(금요일) 장례를 시작해서 3일장을 치루면 발인이 월요일이 되나요? 일요일은 저희 아버지 기제사라.. 혹시 같은날 방문해도 무관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산바다계곡하늘나무별
    산바다계곡하늘나무별

    산바다계곡하늘나무별입니다 질문드린 답에 답변 드린 글이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부조금 20만원정도만 하시고요 양쪽 부모님과 상의하셔야 할꺼같습니다. 아직 결혼하지도 않았고요 부모님 말씀되로 하시는 게 가장 좋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 신랑되실 분과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남편 되실 분이 시댁 식구되실 분들에게

    " 좀 있으면 결혼이라 내가 오지마라고 했다. 그리고 부조는 더 한다는데 내가 말려서 00만큼만 하라고 했다. "고 말하도록 유도하는게 좋겠습니다.

  • 결혼전이고 상견례전이면 본인 혼자 남자친구와 다녀오시면 됩니다. 증조부까지 어머니까지 참석 하실정도는 아닌듯 해요, 그리고 아직 그래도 결혼 전이면 30만원도 많은듯 해요, 예의만 표하시면 될듯해요, 그래서 10만원정도가

    적당하지 않을까요? 앞으로 집안 행사 많을텐데 그때 가셔서 하셔도 늦지 않으세요, 아버지 기제라면 안가셔도 누가 뭐라고 하지 않을겁니다. 그러니 발인때 가지 마시고 발인 전날에 다녀오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먼저 예비신랑될분과 상의하시고 예비신랑이 어른께 물어보셔서 거기에 맞게 조의를 표하시면 될것같습니다.

    그리고 아직 상견례 전이라 상갓집에 가신다면 본인만 들어가셔도 무방하리라 생각됩니다.

    첫 경조사인만큼 부조를 하신다면 일반적인 금액보단 약간더 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증조부인만큼 제가 부조한다면 20만원선에서 할것 같아요

  • 저희집은 동생이 결혼전에 시댁쪽 아버님께서 돌아가셔서 

    어머니, 아버지, 동생 이렇게 같이 갔다왔다고 했는데, 조문할때는 동생만 들어가고 저희 어머니 아버지는 밖에 계셨다고 하더라구요. 조의금은 50만원 넣었다고 들었습니다.

  • 장례식에 참석은 본인만 하시면 될것같아요ㆍ조의금 금액은 30 만윈 정도 하시면 될것 같아요 방문 날짜는 아버지 기제사날 참석하셔도 무관 합니다

  • 결혼 예정이시면 장례식에 참가하는건 삼가하시고, 어머님께서 20만원 정도로 성의 표시정도 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각자 집안마다 상황이 다르니 뭐라고 할수는 없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아버지 제사를 앞둔시점에 상가집 방문은 하지않습니다.

    꼭 가야할것 같으면 지인분을 영안실 앞에 불러내서 조의금만 전달하고 옵니다. 집안마다 격식이 다르니 참고만하시고, 두분 잘 상의 하셔서 작은 감정이라도 쌓이지않게 하심이 좋을듯합니다.

    이쁜 사랑하시길~~ ^^

  • 참 배려심이 많으신 분이시네요~글을 읽다 보니 ~😍 지금 생각 하시는 것처럼 30만원 적당한 것 같고요~어머니 시간 되시면 같이 참석해 주시면 굉장히 고마워 할것 같습니다~다소 분주하더라도 자연스레 어려운 자리에서 인사 나누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꼭 행복하게 사세요~~^^♡

  • 금요일 돌아가셨으면 3일장이면일요일 발인입니다 사망 당일이 1일장이고 3일째가 3일장입니다 결혼도 하기전 조부도 아닌 예비증조부 장례식에 까지 격식을 차러야한다면 부담스러울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신랑될 사람과 상의해서 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 결혼식을 앞두고 상가집에는 잘 안갑니다. 어머니께서는 조의금을 20만원 하면될 것 같고 신부는 가서 절은 하지 마시고 조의금은 내고 얼굴을 뵈고 오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 상견례도 하지않은 상태에서 증조부의 장례식에 어머니가 참석하시는건 아닌것 같고 본인만 참석하셔서 조의금도 30만원은 많은것 같아요 10만원만 해도 무난하리라 생각합니다 적다고 생각하시면 15 만원이나 20만원이면 충분하리라 봅니다

  • 가족중에 한분만 참석하셔도 될 거 같고요

    금액은 15만 ~ 20만 정도 내는게 적당하다고 보이고요

    누구의 아들 이라고 적으시면 될걸로 보여지네요

  • 예비시댁의 조부도 아니고 증조부라고 하면 본이만 잠시 참석하시는 것이 좋을 듯하고요.

    조의금도 10만원 정도만 하시면 충분해 보입니다.

  • 우선 결혼 날짜를 잡아 놓으셧으면 장례식장에 가지 않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그러나 아직 상견례전이구 결혼 날짜를 안잡으셨다면 장례식장에 참석하는게

    맞다고 생각하구요 그리고 증모할머니가 돌아가셧으면 질문자님혼자 조용히

    다녀오는게 좋아보이구요 그리고 부의금도 30만원 정도면될꺼 같습니다

    액수는 크게 상관없이 보입니다

  • 한달뒤 결혼이라면서요 .결혼을 할 사람은 장례식장 .그리고 다른사람의 결혼식엔 참석 안합니다

    그건 다들 그런거라서 .예랑이도 안가야 합니다 .그냥 조의를 표하시고 조의금만 보내는게 좋아요

  • 결혼 전이긴 하지만 그래도 하시는게 맞다고 봐요 그래도 약혼한 사이에 선긋는느낌은좀 아쉬울꺼같아요

    방문은 다른 이유를 만들어서 본인만 다녀오시는게 맞구요 금액은 상관없습니다 지금정도가 적당한거 같긴해요

    발인은 돌아가신날 포함 3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