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Hyperledger(하이퍼렛저)는 기업형 블록체인 기술로 데이터 저장에 좀 더 특화된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술입니다.
퍼블릭과 다른 점은,
합의 알고리즘을 돌리는 클라이언트가 유저가 아니고 서버쪽에 있다는 점
연산장치가 같은 네트워크에 있어 고속이 가능하다(공식 문서에는 약 4초)
등이 있는데,
실제로 환경을 구축하면 4초는 단일 노드일 때이고, 멀티노드일 때는 급격하게 속도 저하가 발생하면서 평균 16초 정도로 생각을 해야 합니다. 노드의 숫자가 검증 및 이중화의 개념이 되기 때문에 많을 수록 좋지만 많을 수록 속도 저하가 급격하게 일어난다는 것이 블록체인의 원래부터 가진 단점이라 이 부분을 최대한 개량을 한 것이 현재는 리플과 하이퍼렛저이지만 아직까지 넘어야 할 산은 많습니다.
현재 IBM에서 주도하여 많은 회사들이 공동 참여하는 프로젝트를 많이 진행하고 있는데요.
공식 지원이나 업체로서의 지원등을 생각한다면 하이퍼렛저를 택하면 보다 좋은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는 오픈소스의 개념 = 무료 라는 개념을 완전히 벗어나기 때문에
블록체인 기술 때문에 발생하는 약 10배의 서버 리소스 낭비를 어떻게 할 것이냐만 잘 고민한다면 가능성은 있습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기존 전통적인 서버 시스템은 큰 차이가 없거든요.. 비용이 너무 들어가는 것만 뺀다면..
그런데 굳이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써야 할까요?
(참고로 저희는 관리자도 수정불가능한 블랙박스 같은 개념으로 사용은 합니다.)
하이퍼레저(Hyperledger)란??
리눅스 재단에서 주관하는 블록체인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금융, IoT, 물류, 제조, 기술 산업 등 여러 산업에 걸쳐 응용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만드는 것이 목표로 하고 있죠.
하이퍼레저 이외에도 R3, Ripple, Ethereum 등 다른 블록체인 플랫폼도 있습니다. 이 중 하이퍼레저가 특별한 이유는, 1)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으로서 기업 비즈니스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환경이라는 점, 2) 특정 비즈니스 모델에 특화된 타 플랫폼과 달리 여러 산업에 범용적으로 도입 가능한 기술 표준을 제시한다는 점입니다.
아래 글들을 꼭 읽어보세요
출처
http://www.markany.com/kr/portfolio-posts/%EB%B8%94%EB%A1%9D%EC%B2%B4%EC%9D%B8-%ED%95%98%EC%9D%B4%ED%8D%BC%EB%A0%88%EC%A0%80-%ED%8C%8C%ED%97%A4%EC%B9%98%EA%B8%B0-1-%EA%B8%B0%EC%97%85%ED%98%95-%EB%B8%94%EB%A1%9D%EC%B2%B4/
http://www.markany.com/kr/portfolio-posts/%EB%B8%94%EB%A1%9D%EC%B2%B4%EC%9D%B8-%ED%95%98%EC%9D%B4%ED%8D%BC%EB%A0%88%EC%A0%80-%ED%8C%8C%ED%97%A4%EC%B9%98%EA%B8%B0-2-%ED%95%98%EC%9D%B4%ED%8D%BC%EB%A0%88%EC%A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