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은 세금을 많이 내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주식시장 세금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요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제가 알기로는 세금을 많이 내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주식시장 에서는 주로 어떤 세금들을 내야 하는지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서 매매등을 통해서 발생하는 세금은 몇가지가 있습니다. 일단 배당주를 받게 되면 배당소득세가 생기고요. 주식을 매도시에 발생하는 증권거래세가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최근에 논의가 되고 잇는 대대주의 기준에 들어가게 된다면 이는 양도소득세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잇습니다. 그리고 해외주식에 대한 투자를 하게 된다면 이는 해외주식에 대한 양도세가 적용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매도시에는 이러한 세금을 고려하여 매도를 진행하는 것이 자산을 늘리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주식 시장애서는 우선 거래를 할때마다 증권사에 매매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또한 연말에 50억 이상 대주주가 되면 양도소득세를 내야합니다. 미국 주식의 경우 수익분에서 250만원을 제외하고 세금을 추가로 내야합니다. 한편 배당 수익에 대한 세금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 관련 세금은 대표적으로 거래세, 배당소득세, 양도소득세 등이 있습니다. 소액 투자자는 주로 배당 소득세와 거래세만 부담하고 대주주로 지정될 경우에만 양도세 대상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대주주에게 부과되는 양도소득세가 있고 배당금에 대한 소득세가 있습니다.해외주식투자에 대한 매매차익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주식을 팔때마다 증권거래세가 자동으로 부과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은 세금이 거의없습니다 많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그게 오해시며 부동산이 세금이 많습니다
주식시장은 기본적으로 거래세0.2프로 밖에 없습니다
양도소득세는 대주주50억이상만 해당되는 세금이며 별도로 해외주식만 양도소득분리과세가 있고 매매매차익 250만원 초과분에 대해서 22프로세금이 붙습니다
이자나 배당수익은 주식매매차익과 별개로 15.4프로 분리과세되며 2000만원 초과분에만 종합소득과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증권거래세(매도시 부과)
주식을 팔때 내는 세금. 이익이 나든 손실이 나든 상관없이 매도 금액에 대해 부과됩니다.이것이 많은 투자자가 세금을 많이 낸다고 느끼는 주요 원인중 하나입니다.
배당소득세(배당금 수령시 부과)
기업이 주주에게 이익을 배당할 때 배당금에 대해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양도소득세(매매차익에 대한 부과)
주식을 매도하여 얻은 차익(시세차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대한민국 주식시장의 소액 주주 대부분은 양도 소득세를 내지 않습니다.
국내 상장 주식의 경우 대주주에만 부가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매매 때 붙는 증권거래세. 2025년 기준 코스피 코스닥 모두 대략 0.15퍼센트입니다. 정부가 0.2퍼센트 인상안을 꺼내둔 상태라고 합니다. 국내 상장주식 양도세는 보통 비과세지만 대주주면 냅니다. 종목당 50억원 또는 지분 1퍼센트 코스닥 2퍼센트 등이 기준입니다. 최근 50억원 유지는 유지 기조라고 합니다.해외주식은 연간 순이익 250만원 초과분에 22퍼센트 양도세가 붙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거래새, 증권사 수수료, 금융소득 종합과세(수익발생할 경우) 이런 세금등이 부과 됩니다.
특히 거래세 같은 경우는 매매시 발생하기 때문에 익절이 나더라도 오히려 손절이 될 수 있으니 거래세와 매매수수료등을 잘 계산하시어 매매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 주식 시장의 세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반대로 알고 계십니다.
일반적으로 한국 주식 시장은 우선 양도소득세가 없다고 봐야 합니다. (대주주 빼곤)
그래서 거래 수수료 정도 있고
다만 배당금에 대해서 배당소득세 등이 15.4퍼센트 부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