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홀리호이
홀리호이

아이가 음식을 잘 물고 있는데 고칠 수 있는 방법이 뭘까요?

아이가 어느정도 먹으면 음식을 안삼키고 물고만 있어요

물고 잘때도 있구요 잠이 들면 음식을 손으로 빼주는데 싫어하고 짜증내네요 잠이 깨서 울기도 하구요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한번에 먹을 수 있는 한입 총량이 다릅니다. 그래서 욕심껏 음식물을 입속에 넣게 되면 한 번에 씹어서 삼키지 못하고 입안에만 오물거리며 남아 있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예 입 크기에 맞는 숟가락을 활용해서 한입씩 정량에 먹는 연습을 시키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음식물을 씹지 않고 물고만 있는 경우 씹거나 삼키는 능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물기가 많은 음식을 만들어주는 것도 방법입니다.

    또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월평이 되면 먹기 싫다는 뜻을 씹지 않는 행동으로

    전달하기도 합니다. 아이의 몸에 밴 식습관을 하루 아침에 바꾸기란 어렵습니다.

    즐겁게 씹는 연습을 시도해보고 좋아하는 음식을 만들어주는 등의 식습관으로 아이 행동을

    바꾸어보시도록 노력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위의경우 같은 식판을 같이 사용하면서 똑같은 모습으로 밥을 먹는것도 좋습니다

    아이는 모델링을 잘하기에

    이러한것을 보여주고 같이 씹는것을 한다면 도움이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음식을 입에 오래 물고 있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 편식으로 인해 먹기 싫은 음식을 억지로 먹게 된 경우 입에 물고 삼키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편식이 이유라면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을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도의 시작은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의 맛과 향, 무르기 등에 있어 유사한 음식을 선택하여 좋아하는 음식과 함께 편식지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먹는 순서는 새로운 음식을 먹고 난 후, 좋아하는 음식을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두번째 이유는 구강운동발달에 문제가 있어 씹기가 안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씹기 동작이 어렵다면 음식을 잘 삼키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음식물을 입에 물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 단호하게 말하여 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의 체중과 소변량을 체크해 보시고 소변량과 체중에 문제가 없다 라면 심리적 요인 때문에 그럴 수도 있으니 이때는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님이 아이 앞에서 밥을 맛있게 꼭 꼭 씹어서 삼키는 모습을 자주 보여 주시기 바랍니다.

    올바른 식습관과 관련해서 동화책을 자주 읽어 주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관련 영상도 함께 보면서 밥은 꼭 꼭 씹어서 삼켜야 한다는 것도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아직 저작 능력이 완전히 발달되지 않아서 그럴 수도 있기 때문에

    몇 번 씹고 음식물을 삼킬 수 있도록 부드러운 음식을 위주로 제공해주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