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뇌세포(뉴런)는 어떻게 정보를 전달하고 처리하나요?

인간의 뇌 구조는 정말 복잡하고 하는 일이 다양하다고 알고있습니다.

이런 뇌세포(뉴런)는 어떻게 정보를 전달하고 처리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상현 전문가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신경세포는 크게 두가지방식으로신호를전달합니다.

    첫번째로 도약전위라는 이온채널을 활용한 정보전달입니다.

    세포안쪽과 바깥쪽의 전위차를 만들어 이동하는

    전기신호를 만들어냅니다.

    두번째로 신경세포 끝과끝에 화학물질을

    분비하는 곳과 받는곳이 달려있어

    화학적인 정보전달이 이루어집니다.

    이런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하고

    신경세포끼리 상호작용하며

    정보저장시스템과 처리시스템을 운용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뉴런끼리는 이온채널의 개폐를통해 전기적신호전달체계를 유지하고 시냅스에서는 화학분자 수용체와 화학분자전달체를 활용한 화학적신호전달체계가유지되어있습니다.

    두가시시스템에의해 빠르고정확한 명령체계가 완성됩니다.

  • 뇌세포인 뉴런은 전기적 신호와 화학적 신호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처리합니다. 뉴런은 축삭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보내고, 신호가 시냅스에 도달하면 신경전달물질이라는 화학 물질을 방출하여 다른 뉴런의 수상돌기로 전달합니다. 이렇게 뉴런 간 연결망이 형성되어 정보가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됩니다.

  • 먼저 뉴런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수상돌기는 다른 뉴런으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이는 부분입니다.

    세포체는 뉴런의 중심부로, 받아들인 신호를 처리하고 축삭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축삭은 세포체에서 생성된 신호를 다른 뉴런이나 근육, 샘 등으로 전달하는 긴 꼬리 같은 부분입니다.

    정보 전달 과정은 다른 뉴런에서 보내진 신호가 수상돌기를 통해 세포체로 전달됩니다. 그럼 세포체에서 받아들인 신호를 종합하여 일정 강도 이상이 되면 활동 전위라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킵니다. 그리고 활동 전위는 축삭을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축삭 말단에 도달합니다. 이후 축삭 말단에서 신경전달물질이라는 화학 물질이 분비되어 시냅스 틈을 건너 다음 뉴런의 수용체와 결합합니다. 신경전달물질이 수용체와 결합하면 다음 뉴런에서 새로운 활동 전위가 발생하여 신호가 연쇄적으로 전달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뉴런은 전기 신호인 활동 전위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데요

    시냅스를 통해 다른 뉴런과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고

    화학 물질인 신경전달 물질을 사용하여 정보를 처리한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시냅스라는 것이 두 신경세포가 연결되면서 만드는 구조로 두 세포의 신호를 주고 받게 됩니다. 이때 시냅스는 전기적 신호를 화학적 신호로 바꾸어 전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