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날드 트럼프 정부가 들어서면서 북미 대화는 어떤 식으로 대화가 진행될까요
현재 미국의 대통령은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 인데요 그런데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 대화를 원하는 눈치인데 북한과의 대화가 어떤 식으로 진행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트럼프 정부가 들어서면서 북미 대화는 어떤 식으로 대화가 될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보시면 지난 첫 번째 임기 때에 있던 방식으로
대화하면서 서로의 요구 사항을 조율해 나갈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그 당시보다 좀 더 파격적인 방식이 될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직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한 어떠한 정책이나 접근법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기존의 기조를 보았을 때 북한과의 긴밀한 공조 정책을 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도날드 대통령의 북미대화는 견제보다는 포용을 기본으로 하는 것 같습니다. 정부를 하나의 국가 단체로 인정해주고, 그들이 필요한 것을 지원해주는 것으로, 긍정적인 친구이다 라는 멘션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어떻게 보면 견제보다 그들의 가치를 인정해주는 것이 해당 정부기간에 큰 문제없이 지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기도 한것 같고요. 정확한 의중은 모르겠으나 긍정적으로 견제보다는 고려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와 북한 정부는 지금도 물밑접촉을 시도하는 것 같지만, 미국 국무부는 별도 허가받지 않는 한 미국 여권으로 북한을 방문(경유 포함)할 수 없게 한 조처(8월31일 만료 예정)를 2026년 8월31일까지 연장하면서 관계 개선이 쉽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는 전통적인 외교 방식보다는 직접적인 정상 간 외교를 선호하며, '미국 우선주의'와 '힘을 통한 평화'를 바탕으로 북한 문제에 접근할 가능성이 큽니다. 트럼프는 북한 대한 최대한의 압박과 동시에, 필요시 직접적인 관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여왔습니다. 트럼프는 실무 협상보다는 정상 간의 직접적인 합의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톱다운 방식의 외교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트럼프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개인적인 관계를 중시하며, 필요시 정상회담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를 할 수 있습니다. 북한의 핵 문제와 경제 제재 해제가 주요 의제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트럼프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요구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조치를 요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트럼프 정부의 대북 정책은 한반도 정세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남북 관계 및 주변국과의 관계에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