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문학

싼마이톱질
싼마이톱질

'또'와 '또한'이 차이가 있는 말인가요? 아니면 그냥 기호에 따라 쓰는 '같은 말'인가요?

글을 보다보면 또 라고 쓸 때도 있고 또한 이라고 쓸 때도 있는데, 사실 의미나 뜻은 동일한거 같은데 굳이 또와 또한이 따로 있는게 잘 이해가 안되네요 두 단어가 같은 단어인가요 아니면 뭐가 다른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또'는 부사로 어떤 일이 거듭하여, 그 밖에 더,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한'은 부사로써 어떤 것을 전제로 하고 그것과 함께, 그 위에 더, 또는 거기에다 더

    또한의 '역시'에 해당하는 말입니다.

    1. 부사 / 어떤 일이 거듭하여

    1. 부사 / 그 밖에 더

    2. 부사 /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한

    1. 부사 / 어떤 것을 전제로 하고 그것과 같게

    2. 부사 / 그 위에 더. 또는 거기에다 더

    위의 사전적 뜻을 보시면 명확하게 구분됩니다.

    '또'와 '또한'은 '그 밖에 더', '그 위에 더, 거기에다 더'라는 뜻으로 인해 같은 말이 아닌가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뿐만 아니라'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질 때 그렇습니다.

    하지만 둘은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또'는 반복의 의미가 있고 '또한'은 비교, 대등의 의미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어제 비가 내렸는데, 오늘도 그렇고, 내일 비가 내린다고 한다.'에서 '또'는 반복의 의미를 가집니다.

    '사람의 인생은 좋을 때도 있고, 나쁠 때도 있다고 하지. 사랑도 사람의 일이니 그 또한 그럴거라 믿어.'에서 '또한'은 사람의 인생과 사랑과의 비교 대등의 의미로 사용되어진 것입니다.

  • '또한'은 비교할 수 있는 쓰임에서 , '또'는 대등하게 연결하는 것,

    '또한'은 앞의 문장을 강조하는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다.

  • 또는 특정 단어들을 나열하는 의미가 강하다면

    또한의 경우 "더욱 더" 라는 의미가 추가적으로 첨가되어있습니다

    "강조"의 의미가 더욱 강하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같은 뜻이지만 발음이 다른 이음동의어 입니다

    소리가 다르기 때문에 어감이 다릅니다

    언어는 무작위하게, 시간에 따라 변하면서 생기고 사라지기 때문에

    동의어가 생기는 것은 매우 흔한 일이죠

    '때리다-구타하다-타격하다-가격하다-공격하다',

    '먹다-섭취하다-취식하다'

    이런 식으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