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신통한거미81
신통한거미81

감기에 걸리면 음식 맛을 거의 느낄 수 없는 이유가 뭘까요?

감기에 걸리면 입맛이 떨어지는 건 물론이고, 음식을 먹어도 평소처럼 맛이 잘 느껴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순히 코가 막혀서 그런 건지, 아니면 감염이나 염증 때문에 미각 자체가 둔해지는 건지 궁금하더라고요. 특히 매운맛이나 짠맛은 조금 느껴지는데 단맛이나 향은 거의 사라진 것처럼 느껴질 때도 있고요. 감기와 미각 사이에는 어떤 생리적인 연결이 있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가장 큰 이유는 코막힘으로 인한 후각 기능의 저하입니다.

    우리가 느끼는 맛의 약 80%는 후각에 의해 결정됩니다. 혀의 미뢰는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의 다섯 가지 기본적인 맛만 감지할 수 있지만, 음식의 향기로운 풍미는 코를 통해 인지하게 됩니다. 감기에 걸리면 콧속 점막이 붓고 염증이 생겨 후각 신경이 제 기능을 못 하게 되기 때문에 단맛이나 향과 같이 섬세한 풍미를 잘 느끼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매운맛의 경우 통각과 미각이 복합된 감각이고, 짠맛은 기본적인 맛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드물지만 바이러스가 직접적으로 미각 세포를 손상시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일시적인 현상으로 대부분은 회복이 됩니다. 또한 염증반응으로 인해 미각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드물게 발생할 수 있죠.

  • 감기에 걸리면 음식 맛을 잘 못 느끼는 이유는 주로 코막힘으로 후각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음식의 맛은 미각보다 후각 의존도가 높아서 향을 맡지 못하면 단맛이나 향긋한 맛이 거의 사라진 것처럼 느껴집니다. 감염이나 염증으로 인해 코 안 점막이 부어오르고 점액이 많아지면 공기 흐름이 막혀 냄새 분자가 후각 수용기에 도달하지 못해 미각까지 둔해지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매운맛이나 짠맛은 혀의 미각 수용기로 직접 느껴지는 자극이라 비교적 유지되지만 섬세한 맛은 후각에 의존하므로 감기 때 크게 저하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