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기타 노무상담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

조직 내부에서의 직무 이동은 어떤 경우에 발생하나요?

조직 내부에서의 직무 이동은 어떤 경우에 발생하나요? 직무 이동의 목적과 장점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반대로 단점은 어떤 점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백승재 노무사입니다.

    회사는 업무상 필요에 의해서 전직, 전보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는 근로자 교육을 목적으로 할 수도 있습니다.

    이 때 근로자는 생활상 불이익이 더 크다고 생각된다면, 부당전직구제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조직 내부에서의 직무 이동은 사용자의 업무상 필요성에 따라 발생합니다. 적재적소에 필요한 인적자원을 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의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히 판단이 어려우나, 회사가 해당 근로자의 업무상 필요성, 적격성 등을 고려하여 보다 나은 직무로의 이동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직무 이동은 선택과 집중을 원활하게 하여 조직운영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잦은 이동은 오히려 업무 집중도를 낮출수 있고 전문성을 약화시킨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직무의 이동은 직무확장, 역량 향상, 승진, 전략적인 필요 등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각각의 이동마다 사업장의 상황에 따라 목적과 장단점이 상이하므로 일률적으로 나열하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배치전환의 목적은 1) 인재의 적정배치를 통한 노동력의 효율적인 활용, 2) 인재의 실천적인 능력개발의 촉진, 3) 직장분위기의 쇄신과 승진의욕의 증대, 4) 조직활성화와 노동의욕 증대에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 내 다양한 직무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축적하게 하여 직무수행능력을 개발하며, 조직 내의 인간관계개선 및 동기 부여를 통한 개인의 만족과 조직의 성과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전문가 양성에 있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새로운 업무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능률의 감소 및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