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3.04.14

반딧불이는 어떤 원리로 반짝이나요?

자연적인 영향이나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불빛을 내는 반딧불이는 어땋게 불빛을 내는 건가요? 어떤 원리로 반짝이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는 화학반응을 통해 자체 발광하는 생물로, 발광의 원리는 생체 화학반응인 생물 발광 혹은 생체 발광이라고도 합니다. 반딧불이의 발광 능력은 루신(luciferin)과 루시페라제(luciferase)라는 물질이 만나는 화학 반응에서 발생합니다. 이 반응은 산소가 필요하지 않고, 온도와 광선에 대한 영향도 받지 않습니다. 이러한 발광 원리로 인해 반딧불이는 밤중에 어두운 장소에서 빛을 내며, 암묵적으로 파트너에게 신호를 보내거나, 먹이를 유혹하거나, 적수에게 위협을 보내는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반딧불이는 생물체 중에서 유일하게 자체 발광을 할 수 있는 동물입니다. 이러한 발광 현상을 생물광학(bioluminescence)이라고 합니다. 반딧불이의 경우, 발광은 효소인 루신(Luciferin)과 산소, 효소인 루시페라아제(Luciferase)가 만나서 일어나게 됩니다. 산소와 루신이 루시페라아제에 의해 촉매작용을 받으면 루신의 화학적인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빛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반응은 생물체의 몸속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전기적인 에너지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반딧불이의 빛은 주로 수컷이 암컷을 유인하거나, 자신이 독을 가진 생물인지 알리기 위해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은 배 말단에 있는 발광기로 빛을 낸다. 사실 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것은 교미를 하기 위한 신호다. 루시페린(luciferin)이라는 물질이 산화되어 빛을 발하게 되는 것이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가 빛을 낼수 있는건 몸속에 있는 화학물질인 루시펜 때문입니다 루시펜은 자극을 받으면 활성화되어 루시페이제라는 화학물질로 변합니다 이 과정에서 루시페이제는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반응이 일어나면서 빛을 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