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소좀과 프로테아좀은 어떻게 다른 건가요?
안녕하세요. 진핵세포가 가지고 있는 세포소기관 중에서 리소좀과 프로테아좀은 둘 다 분해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네, 두 세포소기관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우선 리소좀은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소기관으로, 세포 내 불필요한 물질이나 손상된 소기관, 외부에서 들어온 입자 등을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해 분해합니다. 다음으로 프로테아좀은 막이 없는 단백질 분해 복합체로, 세포 내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하여 아미노산으로 재활용합니다. 이때 리소좀은 엔도사이트 또는 오토파고좀과 융합을 하는데요, 내부 가수분해 효소가 세포 구성물을 분해하며 주로 세포 소기관 재활용과 외부 입자 제거에 사용됩니다. 반면에 프로테아좀은 단백질이 유비퀴틴 표지를 달면 프로테아좀에 인식하게 되며 ATP 의존적 과정을 통해 단백질을 작은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으로 분해하고 주로 단백질 품질 관리, 세포 신호 전달, 세포주기 조절 등에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리소좀은 막으로 둘러싸인 주머니 형태의 세포소기관으로, 오래된 세포소기관이나 외부에서 유입된 큰 물질들을 비선택적으로 분해합니다. 반면에 프로테아좀은 막이 없는 단백질 복합체로, 유비퀴틴이 표지된 손상되거나 불필요한 단백질들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기능을 합니다. 즉, 리소좀은 다양한 물질의 분해를 담당하는 '재활용 센터' 역할을 하고, 프로테아좀은 특정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아 분해하는 '맞춤형 폐기물 처리 시스템' 역할을 합니다.
리소좀과 프로테아좀은 둘 다 단백질을 분해하는 기능을 하지만, 구조나 분해 대상, 작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리소좀은 단일막으로 둘러싸인 주머니 모양의 세포소기관으로, 내부의 산성 환경에서 수명이 다한 세포소기관이나 외부에서 들어온 세균 등 다양한 물질을 분해합니다.
반면, 프로테아좀은 막이 없는 거대한 단백질 복합체입니다. 이는 유비퀴틴이라는 작은 단백질 표지가 붙은, 수명이 다했거나 손상된 특정 단백질만을 선택적으로 분해합니다. 이 과정은 상당히 정교하게 이루어 지는데, 세포의 품질 관리, 세포 주기 조절 등 중요한 역할을 하죠.
따라서 리소좀이 다양한 물질을 분해하는 종합 분해소라면, 프로테아좀은 특정 단백질만 골라 분해하는 정밀 분해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