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깜찍한친칠라135
깜찍한친칠라13522.03.01
지금도 코로나 격리지원금 받을 수 있나요?
31
남성

2월 17일 이후부터는 코로나 격리지원금을 안준다고 들었었는데

오늘 확진 받아도 코로나 격리지원금 받을 수 있나요?

받을 수 있으면 어떻게 받는건지 궁금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현재도 지속적으로 지원중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회사에 유급휴가로 처리되면 중복으로 정부 지원금은 받지 못합니다.

    관할 동사무소에 문의하시는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해당 부분의 경우 의료적인 부분이 아니므로 정확한 도움 드리기는 어렵습니다.

    해당 부분은 1339 등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긴급물품지원금과 긴급구호물품 둘 중 선택 가능합니다. 긴급구호 물품은 자가격리시 필요하면 라면이나 햇반 등이 담긴 구호물품이며 긴급구호물품지원금은 100,000원으로 정해져 있으며 담당 보건소 직원분께 문의하시면 됩니다.

    생활비지원 대상은 코로나19로 인해 보건소의 격리, 입원치료 통지 받을 사람 대상입니다. 주민등록표상 가구원 수를 기준으로하며 가구원수마다 금액은 상이합니다.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하면 되고, 격리해제일 이후 신청하시면 됩니다. 자세한 서류는 담당기관 문의바랍니다. 제외 대상으로는 국가 등으로부터 재정지원을 받는 기관 근로자가 격리인 경우, 격리조치 위반자, 해외 입국자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코로나19 입원·격리자 생활지원비 및 유급휴가 비용 지원 기준이 개편돼 전체 가구원 수를 기준으로 산정했던 지원금이 14일부터 실제 입원·격리자 수에 맞춰 지급된다. 사업주에게 지원하는 유급휴가 비용은 월13만원에서 7만3000원으로 조정됐다.

    방역당국은 14일 확진자 동거 가족에 대한 격리 기준이 조정됨에 따라 생활지원비 지침을 개편했다며 ‘입원·격리자 생활지원비 개편안’을 발표했다.

    지난 9일부터 밀접접촉자 격리 기준이 변경돼 밀접접촉자 중에서도 ‘동거인 중 예방접종 미완료자’와 ‘감염취약시설 밀접접촉자’만 7일간 자가격리한다. 만일 예방접종 완료자라면 동거 가족이 확진되더라도 공동격리 의무에서 제외되고 수동감시 대상으로 분류된다. 수동감시 대상으로 분류되면 7일간 일상생활을 하다 증상이 나타나거나 감시가 해제될 때 PCR검사를 받으면 된다.

    당국은 격리 기준이 조정됨에 따라 전체 가구원 수를 기준으로 지급하던 지원금을 실제 입원·격리자 수에 맞춰 산정·지원한다. 종전 생활지원비 지원은 격리자가 1인만 있더라도 전체 가구원 수에 따라 1인 가구는 월 48만8800원, 2인 가구 82만6000원, 3인 가구 106만6000원, 4인 가구 130만4900원을 상한으로 지원금을 지급했다.

    개편 이후부터는 실제 입원·격리된 가구원 수만큼만 산정해 격리자 수와 격리 기간 등에 따라서 같은 금액을 지급할 계획이다. 확진자를 제외한 나머지 접종완료자 가족은 수동감시 대상으로 분류되며, 생활지원비가 지원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구 내 격리자가 2인이고 7일간 격리되면 41만3000원(2인 가구 기준 5만9000원×7일)의 지원금이 지급된다. 이밖에 재택치료가 일반화되고 공동격리 부담도 완화됨에 따라 접종완료 재택치료자에게 지급하던 추가지원금은 중단된다. 또 격리 근로자에게 유급휴가를 부여한 사업주에게 지원되는 유급휴가비용도 일부 조정됐다. 일 지원 상한액은 13만원에서 7만3000원으로 조정된다.

    출처 : 시사저널(http://www.sisajournal.com)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코로나 재택치료를 받은 경우 지원금을 신청하실 수 있으며, 공공기관/공무원이 아니어야 하며 유급휴가를 받은 사실이 없어야 합니다.

    2. 해당 관련 모든 내용은 관할행정복지센터에서 담당하고 있으니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