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 자산 효과와 총수요곡선의 관계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총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 중 하나로 '실질 자산 효과(real balance effect)'가 작용한다고 할 때, 이 효과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경제학적 의미는 무엇인지 알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질 자산 효과(Real Balance Effect)는 물가 수준이 변할 때 소비자의 실질 구매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설명합니다. 물가가 하락하면 소비자가 가진 현금이나 예금의 실질 가치가 높아져서, 같은 돈으로 더 많은 상품과 서비스를 살 수 있게 됩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실제로 더 많은 소비를 하게 되고, 총수요가 증가합니다. 반대로 물가가 오르면 실질 자산 가치가 줄어 소비가 감소하죠.
즉, 실질 자산 효과는 "물가가 내려가면 소비자가 상대적으로 부자가 된 느낌을 받아 소비를 늘린다"는 점에서 총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이 효과 덕분에 가격이 하락할 때 경제 전체의 수요가 자연스럽게 늘어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실질자산효과란 다음과 같은 내용입니다.
실질자산효과란 물가가 하락하면서
가계의 자산의 가치가 반대로 오르게 되면서
가계의 소비가 증가되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총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 중 하나는 실질 자산 효과는 물가가 하락시 동일한 가치의 금액으로 더 많은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계 실질 자산이 증가합니다.
실질 자산이 증가하면 소비를 늘리게 되며 총수요가 증가합니다. 실질 자산 효과는 물가 하락시 가계의 구매력이 증가하고 소비와 투자가 늘며 최종적으로 경제 전반의 총수요가 확대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질 잔고 효과에 대해 여쭤보신 것 같은데요. 명목소득 변화 대비 실질소득 변화율이 낮을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명목소득 증가분만큼 소비를 늘리게 되는데, 그 이유는 우리의 뇌가 화폐의 가치를 액면가로만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질 자산효과는 물가 수준 변화가 가계의 실질 자산 가치를 통해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합니다. 물가 하락 시 화폐 및 금융 자산의 실질 가치가 상승해 소비가 증가하고, 반대로 물가 상승 시 실질 구매력 감소로 소비가 줄어듭니다. 이 효과가 클수록 총수요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지며, 물가 변화에 따른 수요 변동이 크게 나타납니다. 즉, 실질 자산효과는 총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자산 가치 변동이 소비를 매개로 총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반면 효과가 작으면 곡선이 가팔라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