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되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최근 공매도 과열 종목들이 45종목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이 되었던데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이 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과열 종목으로 지정되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 과열 종목은 일정 기간 공매도 거래량이 특정 기준을 과도하게 초과하거나 또는 공매도 잔고가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올 때 지정이 됩니다.
이때 주식 시장의 변동성을 과도하게 키우지 않기 위해서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 되면 거래에 제한이 생기고 해 당 종목에 대한 추가 공매도가 일시적으로 금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과도한 하락을 방지 하고 투자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되면 해당 종목에 대해 공매도 거래 제한이 발생합니다.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은 다음 매매거래일 하루 동안 정규시장 및 시간외시장에서 공매도 거래가 금지됩니다. 이는 과도한 공매도로 인한 주가 급락을 방지하고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되어 공매도 거래가 금지된 날에도 해당 종목의 주가가 일정 비율 이상 추가 하락할 경우, 공매도 금지 기간이 다음 거래일까지 연장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매도 투자자들은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될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고 투자해야 하며, 과열종목으로 지정될 경우 다음 거래일에는 해당 종목에 대한 공매도 거래를 할 수 없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금지 종목으로 지정되면 최소 1~최대 10일까지 공매도가 금지 되며 시장에서는 해당 종목의 악재가 있는 것으로 받아 들일 수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주가에 악영향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시 어떤 불이익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되면 불이익이라기 보다는
1일간 공매도가 금지가 됩니다.
즉, 익일인 T+1 일에 공매도 거래가 금지가 되며 T+2 일에
다시 공매도가 해제되어 거래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