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기운찬재칼262
기운찬재칼262

산불 발생시에 마른 번개가 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텔레비젼에서 산불 발생시에 마른 번개가 칠 수 있다고 하는데 이 현상은 왜 일어나는 것인가요? 이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적란운이 생기면 비가 오지 않은 상태에서도 번개가 칩니다.

    이것을 마른 번개라고 합니다.

    적란운이 생각보다 높게 형성됩니다.

    지상에서 1.5km부터 6km까지 퍼져있습니다.

    산불이 나면 열기로 인해서 적란운이 생깁니다.

    구름 사이에 전하가 축적이 되다가 전하의 차이로 번개가 치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산불 발생 시에 마른 번개가 칠 수 있는 현상은 "산불 번개" 또는 "폭발적 번개"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산불의 열과 연기에 의해 대기 중의 입자들이 이온화되고, 이온화된 입자들이 전기적인 충돌과 상호작용을 일으키면서 번개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산불은 고온과 강한 열기를 발생시킵니다. 이로 인해 공기 주변의 입자들이 열에 의해 확장되고 상승하면서, 열기와 연기를 동반한 상승 기류가 형성됩니다. 이 상승 기류는 주변의 공기와 충돌하면서 입자들을 비충전된 상태에서 이온화시킵니다. 이온화된 입자들은 전기적인 힘에 의해 분리되고, 이렇게 형성된 이온들이 전기적인 충돌과 상호작용을 일으키면 번개가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