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2.10.31

경기가 불황기로 들어서는 것 같습니다.

경기가 불황기로 들어서는 것 같습니다. 아니 벌써 왔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런 경기 불황은 언제 괜찮아질까요? 불황이 언제까지 갈건지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경기불황은 미국은 과도한 금리인상으로 인한 것입니다.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미국의 금리인상이 진정되고, 기업, 가계들이 고금리에 적응을 하면서 경기침체를 이겨내는 것입니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히 많은 고통이 따를 듯합니다.

    미국의 금리인하도 경기침체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적어도 인플레이션이 꺾이거나 고용시장에 크게 문제가 생기지 않는 이상 이 부분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31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 주요 기업 최고재무책임자(CFO)들은 5곳 중 1곳은 내년 영업이익이 올해보다 줄어들 것이라고 응답했습니다. 내년에도 전 세계 경기 전망이 악화되는 가운데 '킹달러'란 말이 나올 정도로 거세지는 달러 강세, 장기화되는 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갈등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당분간은 힘들어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경기 싸이클의 시기를 예측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내년 까지는 침체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 우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종식 되어야 하는데 아직 진행중에 있고 금리도 내년 까지는 인상기에 놓여 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 경기 연착륙을 위해 금리도 올리고 정책적으로 시장을 보조해 주고 있으니 짧게 끝내고 넘어가길 기대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20년 내 경기침체 사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제가 별도로 만든 자료인데 2007~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3년 5월 미연준의 테이퍼링에 따른 신흥국 위주의 긴축발작 그리고 최근 2020년 코로라19로 인한 글로벌 락다운입니다.

    모두 강력한 경기 침체였으나 주요국들의 확대 재정, 금융 정책으로 풍부한 유동성 하에 2년 내외 위기에서 벗어났습니다.

    금번 고환율, 고금리, 고물가의 경기 침체는 말씀 대로 일부 국가는 스테그플레이션으로 진입한 듯하고 미국도 내년 경기 침체를 예상하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미연준과 유로존 등은 이미 선제적으로 금리 인상을 하며 고통을 감내하고 있어 내년 이후 경기 침체를 위한 확대 재정정책 진행 여력을 남겨 두고 있습니다. 제 소견은 2023년은 다소 어려운 한해가 될 것 같고 2023년 4분기 내외부터 경기 저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합니다. 2024년 하반기부터는 경기가 어느 정도 살아 날 듯합니다.

    다만,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어느 정도 해결되고 미중 무역전쟁이 잦아 들며 중국의 대만 침공 같은 예상치 못한 대외 변수의 확대 또는 발생이 없다는 전제 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