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진기한황새230
진기한황새230

사회초년생의 연금저축 납입액은 얼마를 추천드리나요?

연금저축이 연말정산때 세액공제(16.5 or 13.2%)가 되어서 꽤 혜택이 좋은 것 같은데, 목돈이 묵히는거여서 반대하시는 분들도 많더라고요. 소액정도는 괜찮을 것 같아서 월 10만원씩 납입하고 있는데, 사회초년생의 연금저축 납입액은 얼마를 추천드리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물론 개개인의 여유자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 금액이긴한데, 부담이 없다면 금액을 늘려도 좋을 것 같습니다. 결국 연말정산 혜택과 함께 추후 글쓴이님이 받는 연금이 늘어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사회초년새으이 연금저축 납입액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세액 공제가 되어서 좋지만

    반대로 만으로 55세가 되기 전에 인출이 불가하기 때문에

    소액 정도만 이용해보실 것을 추천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연봉에 따라서 비중을 맞추는게 중요합니다 연봉 3500만원이하시라면 월 10-15만원정도로 16.5%의 세액공제 구간으로 부담이 없는 수준으로 유지하는게 맞다고 보이며 이후 4500만원정도의 구간이라면 월 25만원정도에서 균형점을 찾으시고 5000만원이상부터는 세액공제한도최대를 노리시는 즉 600만원 한도까지 납입을 고려하시고 IRP를 활용하여 900만원까지 늘리시는 전략을 맞춰가는게 좋다고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세액공제 측면에서는 좋지만,

    돈 들어갈 일이 많은 청년층이 많은 금액을 넣기에는 그렇게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딱 금액을 정하기는 어렵지만 빼지 않을 수 있는, 잔여 금액 느낌의 돈만 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차라리 당장은 ISA 계좌를 이용하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처음 사회생활 시작하면서 연금저축 고민하는 거 참 애매합니다. 당장은 월급도 많지 않은데 미래를 위해 돈을 묶어둬야 한다는 게 답답하게 느껴지거든요. 세액공제율이 높아서 이득이라는 얘기도 있지만 실제 체감은 연말에 몇십만 원 돌려받는 정도라 크게 와닿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초반에는 무리하지 말고 지금처럼 10만 원 정도 꾸준히 넣는 게 괜찮습니다. 생활비 여유가 생기면 조금씩 늘려도 되고요. 오히려 중요한 건 시작 시점 같아요. 일찍부터 작은 금액이라도 꾸준히 넣으면 복리 효과가 쌓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