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초년생의 연금저축 납입액은 얼마를 추천드리나요?
연금저축이 연말정산때 세액공제(16.5 or 13.2%)가 되어서 꽤 혜택이 좋은 것 같은데, 목돈이 묵히는거여서 반대하시는 분들도 많더라고요. 소액정도는 괜찮을 것 같아서 월 10만원씩 납입하고 있는데, 사회초년생의 연금저축 납입액은 얼마를 추천드리나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물론 개개인의 여유자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 금액이긴한데, 부담이 없다면 금액을 늘려도 좋을 것 같습니다. 결국 연말정산 혜택과 함께 추후 글쓴이님이 받는 연금이 늘어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사회초년새으이 연금저축 납입액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세액 공제가 되어서 좋지만
반대로 만으로 55세가 되기 전에 인출이 불가하기 때문에
소액 정도만 이용해보실 것을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연봉에 따라서 비중을 맞추는게 중요합니다 연봉 3500만원이하시라면 월 10-15만원정도로 16.5%의 세액공제 구간으로 부담이 없는 수준으로 유지하는게 맞다고 보이며 이후 4500만원정도의 구간이라면 월 25만원정도에서 균형점을 찾으시고 5000만원이상부터는 세액공제한도최대를 노리시는 즉 600만원 한도까지 납입을 고려하시고 IRP를 활용하여 900만원까지 늘리시는 전략을 맞춰가는게 좋다고 판단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세액공제 측면에서는 좋지만,
돈 들어갈 일이 많은 청년층이 많은 금액을 넣기에는 그렇게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딱 금액을 정하기는 어렵지만 빼지 않을 수 있는, 잔여 금액 느낌의 돈만 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차라리 당장은 ISA 계좌를 이용하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처음 사회생활 시작하면서 연금저축 고민하는 거 참 애매합니다. 당장은 월급도 많지 않은데 미래를 위해 돈을 묶어둬야 한다는 게 답답하게 느껴지거든요. 세액공제율이 높아서 이득이라는 얘기도 있지만 실제 체감은 연말에 몇십만 원 돌려받는 정도라 크게 와닿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초반에는 무리하지 말고 지금처럼 10만 원 정도 꾸준히 넣는 게 괜찮습니다. 생활비 여유가 생기면 조금씩 늘려도 되고요. 오히려 중요한 건 시작 시점 같아요. 일찍부터 작은 금액이라도 꾸준히 넣으면 복리 효과가 쌓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