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블록스 게임 7-8세에 깔아줘도 되나요
사촌 집에 놀러갔다와서는 로블록스 게임을 알아왔더라고요 깔아 달라해서 깔아줬는데 너무 이른감이 있어서 걱정이 되네요 7,8세에 깔아줘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로블록스 게임은 레고블럭 놀이가 유사 합니다.
가상의 세계에서 아이가 상상하는대로 만드는 놀이 게임의 일종 이기 때문에 아이들이 할 만한 게임 중 하나 입니다.
게임 연령은 PEGI 연령 등급이 7세 이상으로 제공 됩니다
즉, 7세 이상 부터 플레이를 할 수 있는 것으로 통과 되었기 때문에 7,8세 라고 할 지라도 아직은 로블록스 게임을 하게 두긴 보다는 다양한 보드게임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로블록스는 게임의 내용과 성격에 따라 아이들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때때로 부적절하거나 폭력적일 수 있는 게임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로블록스에는 다양한 사용자들이 만든 게임들이 올라가므로 부모가 아이가 접하게 될 콘텐츠를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가 안전하고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부모는 게임의 설정에서 부모 보호 기능을 활성화하고 아이가 접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부모의 관리하에 안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법이 있습니다
그리고 로블록스는인터넷 기반이기 때문에 온라인에서 다른아이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게임을즐길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아이들이 사회적 상효작용을 배우는 데 긍정적일 수 있지만 동시에 온라인에서의 안전에 대한 우려도 따릅니다
아이가 다른 사용자와 대화하거나 상호작용하는과정에서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부모는 아이가 온라인 황경에서 적절한 행동을 하도록 교육하고 인터넷 상의 위험에 대해 충분히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로블록스는 창의력과 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지만, 연령에 맞는 콘텐츠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가 규칙을 정하고 이용 시간을 관리하면 7-8세 아동도 즐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7-8세 아이가 로블록스를 사용해도 괜찮지만, 부모의 감독과 함께 사용해야 하며, 적절한 설정과 대활르 통해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게임을 통해 창의력과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항상 안전을 염두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로블록스는 사용자들이 게임을 만들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아이가 창의력을 발휘하고 게임 디자인에 대한 기본 개념을 배울 수 있습니다. 친구들과 함께 게임을 하면서 사회적 기술을 기를 수 있고, 협동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로블록스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가 많기 때문에, 게임 내에서 다양한 종류의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이 게임들은 연령대에 따라 매우 다르게 구성되어 있어, 일부는 간단하고 즐겁게 놀 수 있는 게임이지만, 다른 게임은 폭력적이거나 성적인 내용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녀가 접근할 수 있는 게임을 잘 선택해야 합니다. 7~8세 아이가 로블록스를 사용해도 괜찮지만, 몇 가지 주의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게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쾌한 상황이나 부적절한 콘텐츠를 방지하려면 부모 통제 기능을 설정하고, 아이의 게임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게임 시간이 너무 길어지지 않도록 규칙을 설정하고, 게임과 함께 다른 건강한 활동을 격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님이 잘 관리하고 설정만 하면 로블록스는 아이에게 재미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게임 플랫폼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부모님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점을 참고하셔서 아이가 로블록스를 안전하게 즐길수있게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로블록스는 창의력 발달에 좋지만 부적절한 콘텐츠와 채팅 위험이 있습니다. 부모 계정을 통해 관리를 하세요
안녕하세요.
검색해 보니 12세 이용가 게임으로 나오므로, 아직 아이들이 플레이를 하기에는 이른 감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렇다고 엄청나게 잔인하거나 그런 건 보이지 않으나 아이가 이해하기 어려움 부분이 있을 수 있어요. 아이의 이해도를 고려하여 게임을 할 때 옆에서 관찰하여 조절하는 등의 지도 및 감독이 필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