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건국 강령인 삼균주의란 무엇인가요?
1941년 발표한 대한민국의 건국 강령은
조소앙이 제창한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삼았다고 하는데 조소앙이 제창한 삼균주의란 무엇인지,
어떤 정신을 기반으로 해서 만들어진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균이란 개인간 민족간 국가간 균등을 말하고, 정치적 균등 경제적 균등 교육적 균등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균주의가 무엇인지가 궁금하군요.
독립운동가 조소앙의 민족주의적 정치사상으로,
개인과 개인·민족과 민족·국가와 국가 간의 균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치·경제·교육적 균등을 실현해야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아리따운안경곰70 님 안녕하세요.
조소앙이 제창한 삼균주의에 대해서 궁금하시군요.
삼균주의는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조소앙이 독립운동의 기본방략 및 미래 조국건설의 지침으로 삼기 위해 체계화한 민족주의적 정치사상입니다. 삼균주의의 대전제는 '완전균등'으로, 개인과 개인,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 간의 완전균등을 표방하였습니다. 개인 간의 균등은 정치·경제·교육의 균등을 통해, 민족 간의 균등은 민족자결을 통해, 국가 간의 균등은 모든 국가들이 서로 간섭·침탈 행위를 하지 않음으로써 이룩된다고 보았습니다. 한국독립당의 정강으로 채택되어 독립운동의 기본이념이 되었고, 1941년에는 충칭 대한민국임시정부가 건국의 기본이념으로 공포하였습니다1.
이렇게 균등에 초점을 맞춘 삼균주의는 조소앙의 민족주의적 사상을 반영하며, 독립운동과 미래의 조국 건설에 기반을 두었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URL: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6495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 진영에는 민족혁명론, 무저항주의, 계급투쟁론 등 다양한 좌우익 사상이 혼재, 제각각 자기 방식으로 민족의 문제를 해결하려 했는데 삼균주의는 그러한 다양한 운동 중의 하나로 개인과 개인,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자 간에 완전한 균등을 실현하기 위해 정치적, 경제적, 교육적 균등을 실현함으로써 가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러한 대전제 위에 개인간의 균등은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통해 이룰 수 있고, 민족간의 균등은 민족자결을 통해 이룰 수 있으며, 국가간의 균등은 식민정책과 자본제국주의를 부정하고 침략전쟁 행위를 금지함으로 이룰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종국적으로 사해일가, 세계일원 이라는 완전 평등이 국제생활을 이룰수 있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균주의> 독립운동가 조소앙의 민족주의적 정치사상으로 개인과 개인. 민족과 민족.국가와 국가 간의 균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치.경제.교육적 균등을 실현해야 한다는 의미 입니다.
즉 삼균주의는 일제에게 빼앗긴 국토와 주권을 회복하여 민족 전체의 행복이 실현될 수 있는 새로운 민족국가인 ‘신민주국가’를 건설하고 나아가 인류평화가 실현되는 최고단계로서 세계일류 국가를 지향한 한국근대의 이상적인 정치사상 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개인, 민족, 국가간에 균등 생활을 실시하려는 주의인 삼균주의는 민족사의 전통과 선례에서 역사적 근거를 찾아낸 뒤에 동서양의 기존 사상으로 보완하는 방법을 택한 것 입니다. 그것이 근대민족국가를 건설하려는 독립운동의 기본이념이었기 때문에 우리 민족의 혁명성을 추출하려 하였습니다.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조소앙이 독립 운동의 기본방략 및 미래 조국 건설의 지침으로 삼기 위하여 체계화한 민족주의적 정치사상 입니다. 삼균주의의 대전제는 완전균등으로, 개인과 개인,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 간의 완전균등을 표방하였습니다. 개인 간의 균등은 정치·경제·교육의 균등을 통해, 민족 간의 균등은 민족자결을 통해, 국가 간의 균등은 모든 국가들이 서로 간섭·침탈 행위를 하지 않음으로써 이룩된다고 보았습니다. 한국 독립당의 정강으로 채택되어 독립운동의 기본이념이 되었고, 1941년에는 중국 충칭대한민국임시정부가 건국의 기본 이념으로 공포하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