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수준이 높은 것과 물가상승률이 높다는 말의 차이가 뭘까요?
물가가 화폐수요를 결정함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요소인데요. 물가 수준이 높다는 것과 물가상승률이 높다는 말의 차이가 너무 헷갈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물가 수준이 높은 것과 물가상승률이 높다는 말의 차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가 수준이 높은 것은 이미 물가가 높은 상태이고
물가상승률이 높다는 것은 물가 수준과는 상관이 없이 물가 상승률이 높다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 수준이 높다는 것은 특정 시점에서 물건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물가 수준이 높다면,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평균적으로 비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현재의 가격이 과거보다 높거나 다른 나라나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나타냅니다.
반면, 물가상승률이 높다는 것은 물가가 일정 기간 동안 얼마나 빠르게 상승했는지를 나타냅니다. 즉, 물가상승률은 물가의 변화 속도를 의미하며, 1년 전과 비교해 가격이 얼마나 올랐는지를 보여줍니다. 물가 수준은 현재의 가격 상태를, 물가상승률은 가격 변화의 속도를 의미합니다.
물가 수준이 높다는 것은 이미 형성된 물가가 높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기본 생필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이미 높은 수준에 있어 사람들이 더 많은 돈을 지출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반면, 물가상승률이 높다는 것은 물가가 계속해서 빠르게 오르고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즉, 물가 상승률은 가격의 증가 속도를 나타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가가 얼마나 빠르게 오르는지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물가 수준이 높지만 물가 상승률이 낮다면 현재 물가 자체는 높지만 오르는 속도는 느린 상태입니다.
반대로 물가 상승률이 높다면 물가가 빠르게 오르고 있어 앞으로 더 높은 물가 수준이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수준이 높다는 건 물건 가격이 이미 비싸다는 것이고,
물가상승률이 높다는 건 가격이 빠르게 올라가고 있다는 걸 의미해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수준 높다는것은 상대물가와 절대물가수준을 비교해서 표현하는것입니다.
예를들어 아이슬란드나 노르웨이 같은 곳은 외부물자재 조달비용이 비싸고 일부 자급자족도 필요한곳입니다. 한국과 비교하여 똑같은 1끼인 김치찌개나 햄버거세트도 5만원인곳이 허다하며 이런 상대물가수준을 비교하여 물가수준이 높다고 평가하는것입니다.
또한 2020년과 2024년 똑같은 냉면이나 평균 배달임금이 절반이상 올라 가계가 느끼는 절대물가수준이 높아졌다는 의미입니다.
물가상승률은 매년 매월 기간의 상승률을 말하며 품목마다 가중치를 두고 평가하기 때문에 체감물가와 가계가 느끼는 절대물가수준과 달리 상승률이 한자릿수가 일반적이며 최근에는 1~2프로의 물가상승률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이미 높아진 가격에서 추가적인 상승률을 의미하는것이기 때문에 물가상승률은 기간의 통계의 데이터라면 물가수준은 가계나 상대비교같은 체감데이터와 비교데이터에 가깝다고 볼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