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옹골진무당벌레103
옹골진무당벌레10321.12.30

몸이 뜨거워지면 몸이 가려워져요

제목 그대로 몸에 열이나면 몸이 가려워져요. 네이버나 다른곳에 검색도 많이 해봤는데 다들 콜린성 두드러기 일 확률이 높다고 그러더라고요.

그런데 저는 두드러기가 생기거나 몸이 빨개지지가 않거든요. 약간 바늘록 토도독 하면서 광범위하게 찌르는 느낌?

부위는 전신에 그러고 특히 겨울에 더 자주 그래요. 건조해서 그런것도 있는거 같은데 그렇기엔 또 뜨거운물로 씻을때도 너무 간지러워서 건조해서 그런거 같진 않아요.

스트레스를 받거나 너무 웃기거나 가끔 침대에서 이불속에 들어가 있을때 아니면 힘줄때 많이 간지러워 져요.

그런데 신기하게 여름에 그냥 날씨 때문에 더운거는 가렵지 않더라고요. 겨울에만 꽁꽁 싸매고 다녀서 안에 열이 쌓인건가? 싶기도 하고 왜 이런지 잘 모르겠어요. 이거 때문에 가뜩이나 추워서 싫은 겨울이 더 싫어지네요.

도대체 왜 이럴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질문자님의 증상은 콜린성 두드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꼭 두드러기가 생기지 않더라도 심부 체온의 상승으로 인한 가려움증으로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몸의 심부 체온이 상승하는 등의 상황에서 증상이 유발되는 질환으로 체온 조절하는 피부 교감신경계에 오작동이 일어나 발생하는 증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년간 증상이 산발적으로 나타나다 사라지는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평소에 최대한 증상이 유발될만한 상황을 피하시고, 증상 발생 시 약물 복용을 통해 대증적인 치료를 하며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두드러기가 올라오지 않고 추운 곳에서 더운 곳으로 갔을때 찌릿찌릿한 느낌을 말하시는 것 같습니다.

    추운 환경에서 피부 표면의 모세혈관이 수축된 상태에 있다가

    따뜻한 환경으로 가면 피부 표면 모세혈관의 이완과 함께 혈액이 순환하게 되면서 그렇게 느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1.01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피부 가려움증은 피부염(습진)이 있어서 가렵거나, 아주 병변이 없어도 피부가 건조하면 가려움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어떤 원인에서든 처음 가려워서 긁기 시작하면 피부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피부를 두껍게 만들고 그 부위가 더 가려워지게 되는 악순환을 가게 됩니다. 그래서 가렵더라고 참고 손을 안대는 것이 좋으며 가려울 때마다 긁는 대신 보습제(로션)을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가려움증의 원인이 되는 피부질환이 있는 경우 글로 표현하는 것보다 직접 보고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피부과 전문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콜린성 알레르기가 모두 피부 병변을 동반하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갑작스런 온도 변화에 차갑거나 뜨거워지는 경우 히스터민이 분비되어 가려움을 유발할 수 있고 있고 이는 급격한 온도 변화를 피하는 것으로 증상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항히스타민제 복용이 도움이 됩니다


  • 말씀하신 증상은 콜린두드러기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콜린두드러기는 목욕이나 운동, 스트레스 등에 의한 땀샘 자극으로 발생하는 두드러기로 비교적 작은 두드러기가 여러개 발생하고 몸이나 얼굴에 잘 발생합니다. 가려움증과 함께 따가움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른 두드러기처럼 먹는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여 치료합니다. 완전히 예방하는 것은 어렵지만 피부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조이는 옷이나 속옷, 과격한 운동 등을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긁는 것과 같은 물리적 자극이나 땀이 나거나 더운 곳에 있는 것과 같은 열자극은 가려움증을 악화시킬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급적 긁지 마시고, 시원한 것을 가려운 곳에 올려 놓으시거나 생활환경을 서늘하게 하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콜린성 두드러기가 맞을 것 같습니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열이 오를 때 발생합니다. 더운 여름에는 계속 더우니깐 증상이 덜할 수는 있지요. 그래서 겨울에 갑자기 체온이 오를 때, 즉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올 때, 뜨거운 물로 샤워할 때 주로 생기게 되지요. 가급적 꽁꽁 싸매고 다니시지는 마시고 조금 시원하게 유지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가려우면 항히스타민제를 사서 드시는 것도 좋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