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PSM_1011
PSM_1011

밝은 빛을 보면 주변 환경이 밝게 보이는 이유

막 졸음이 밀려오거나 멍 할때 led등 같은 밝은 빛을 한 10초 쳐다본 후 주변 환경을 바라보면 졸음이 갑자기 사라지고 주변이 전에 비해 되게 밝게 보이는데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눈 안의 광수용체는 빛의 강도에 따라 적응합니다. 밝은 빛을 본 후에는 눈이 그 밝기에 맞춰 조정되므로, 주변의 상대적인 밝기가 더 잘 인식됩니다.

     졸음이 느껴질 때는 시각적으로 피로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밝은 빛을 쳐다보면 시각적 자극이 증가하여 피로감이 해소되면서 주변 환경이 더 선명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 갑자기 밝은 빛을 보면 망막이 강하게 자극되고, 이 자극은 시신경을 통해 뇌의 시각 중추로 전달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전달된 자극은 뇌간을 활성화시켜 뇌 전체를 깨어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참고로 뇌간은 뇌의 가장 오래된 부분으로,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합니다.

    또한 뇌간의 활성화는 노르에피네프린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촉진하게 되는데 노르에피네프린은 각성, 주의력, 기억 등을 담당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졸음을 쫓고 집중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주변이 밝아보이는 현상은 명순응과 대비효과로 인한 것입니다.

    명순응은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이동하면 처음에는 잘 보이지 않지만, 시간이 지나면 점차 주변이 밝아 보이는 현상을 명순응이라고 합니다. 눈을 감고 있을 때는 어두운 상황이지만 눈을 뜨면 밝아지며 명순응을 거치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밝은 빛을 본 직후 주변이 더 밝아 보이는 것은 대비 효과 때문입니다. 극단적인 밝기의 차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주변이 더 밝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밝은 빛을 보면 뇌가 활성화되고 시각 시스템이 적응하면서 졸음이 사라지고, 명순응과 대비효과로 주변이 더 밝게 보이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 밝은 빛을 보면 주변 환경이 더 밝게 보이는 이유는 눈이 빛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강한 빛을 본 후, 눈의 광수용체가 일시적으로 과도한 자극을 받아 이후 주변의 일반적인 빛을 더 민감하게 받아들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졸음이 사라지고 주변이 더 밝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는 눈이 빛의 강도 변화에 적응하면서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밝은 빛은 시각 신경을 자극하여 뇌의 각성 상태를 높입니다. 이로 인해 졸음이 줄어들고 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력에는 안 좋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밝은 빛을 잠시 쳐다본 후 주변 환경이 더 밝게 보이는 현상은 눈과 뇌의 시각 처리 과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눈에는 빛을 감지하는 광수용체(photoreceptors)가 있습니다. 이 중 간상세포(rod cells)는 어두운 환경에서 빛을 감지하는 역할을, 원뿔세포(cone cells)는 밝은 환경에서 색과 세부적인 것을 인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밝은 빛을 짧게 보게 되면 원뿔세포가 일시적으로 자극을 많이 받게 되는데, 이로 인해 망막의 감도가 일시적으로 감소하게 됩니다. 밝은 빛에서 시선을 돌리고 주변을 보게 되면 망막의 감도가 회복되면서 주변 환경이 더 밝게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눈이 급격한 밝기 변화에 적응하려고 하는 과정의 일환입니다. 또한 뇌는 다양한 시각 신호를 처리하여 우리가 보는 장면을 해석합니다. 밝은 빛을 본 후 뇌는 시각적 정보를 조절하는데, 이 과정에서 밝기 감도가 일시적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주변 환경이 더 밝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