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노후 준비는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월급 받은거 저축하는데 결국 나중에 아이 앞으로 중고생에는 저축하지도 못하고 사교육비로 다 나가겠죠?? 걱정이에요 아파트 대출금에 제 노후는 어떡하죠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많은 분들이 비슷한 고민을 하시는데, 늙어서 돈 때문에 힘들어질까 봐 염려하는 건 당연하죠. 노후 준비는 지금 당장 시작하셔야 하는데, 가족의 지출이 어디에 얼마나 쓰이는지 솔직하게 이야기 나눠보고 정확히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하면 좋습니다. 전문가들은 수입의 최소 10% 정도는 연금이나 펀드, 저축 등으로 노후 자금을 미리 준비하라고 권장해요. 특히 연금저축이나 IRP 같은 상품은 노후 준비는 물론 세액공제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서 권장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노후 준비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의 3층 구조로 계획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월소득의 10~15%는 연금형 자산으로, 나머지는 ETF, 채권형 상품 등으로 분산해야 합니다.
즉, 장기 복리와 세제혜택을 병행하며 실질 소득을 지키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노후준비는 현실적으로 보자면 노령+개인연금과 주택연금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개인마다 차이는 있지만 보통 저렇게 해서 주택이 9억정도라면 월 100만원정도 나오며 나머지금액과
조금씩 소일거리하여 250~300정도 맞추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자녀분에게 증여가 없다는 전제하입니다.
개인적으로 저렇게 하지 않으면 사실 일부 특정직업군이 아닌 이상 답이 없을 정도로 힘들어집니다.
그리고 제일 자금관리에서 못 하시는 것들 사교육비/보험비 인데 걱정되어 많이들 돈을 쓰시는데
거기서 줄이시고 그 돈으로 차라리 주식을 사주시는 것이 미래에 훨씬 나으실거라 말씀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노후 준비는 정확한 재무 설계로 현재 지출 구조를 파악하고, 국민연금을 포함한 3층 연금 체계를 적극 활용하며, 대출 상환과 노후자금 저축을 병행하면서 균형 있게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향후 재무 계획을 세워 저축과 투자, 연금 활용을 꾸준히 병행해야 노후의 재정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솔직히 대부분의 사람들이 노후준비는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이 전부인듯 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개인연금이 조금 더 있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 연배가 어떻게 되시는지 잘 알지 못하지만 중고생 사교육비를 향후 걱정하시는 것으로 봐서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 정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결국 노후 준비는 어느 정도 삶의 질을 유지하며 살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자녀가 있을 경우 학자금과 결혼 비용까지 고민을 하셔야한다면 큰 지출에 대한 규모와 수준을 미리 고민하고 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중고생 자녀(들)의 사교육비도 노후 준비를 위한 종자돈을 모으고자 하신다면 어느 정도까지 소득 대비 사교육비를 지출할 것인지 미리 준비하는 게 필요합니다.
노후 준비는 결국 매달 원하는 수준의 소득을 얻기 위한 종자돈의 규모입니다. 종자돈의 규모는 결국 복리를 통해서 꾸준히 모아야 하는데 이 부분을 3년 또는 5년 단위로 계획 하시어 현재와 미래 예상 소득 대비 지출 규모를 미리 준비하면 좋을 듯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노후 걱정이 많습니다. 국민 연금 수령으로 버탸야 하며 나중에 주택을 조금 저렴한 곳으로 옮겨갈 필요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노후 준비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과도한 사교육 지출을 줄이시고
그 돈으로 노후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자녀도 중요하지만
30-40년 더 살지 모를 노후 준비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