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에서 급하고나 다급할때 소리지르면 실제로 소리를 지르고 눈물이 흐르면 눈물이 나는이유
안녕하세요.이세나나오입니다.
요즘 꿈을 자주 꾸고있습니다.
신기한건 꿈에 깊이 빠져 꿈속에서 다급한일이 생기거나 슬픔이 몰려오면 실제로 소리를 지르게 되고 눈물도 나던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수면은 여러 단계로 나뉘며, 이 중 가장 깊은 꿈을 꾸는 단계는 REM(rapid eye movement) 수면 입니다. REM 수면 동안 뇌의 활동은 깨어 있을 때와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합니다. 이때 꿈의 내용은 생생하고 감정적으로 강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뇌파는 빠르게 움직이고, 뇌의 여러 부분이 활성화되며 특히 감정과 관련된 변연계와 같은 영역이 활성화 됩니다.
꿈에서 경험하는 강렬한 감정은 실제 신체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뇌의 감정 처리 영역과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합니다. 꿈에서의 다급함이나 슬픔은 실제 신체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REM 수면 동안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REM 수면 중에는 소위 말하는 '수면 마비(sleep paralysis)'가 발생하여 대부분의 근육이 일시적으로 마비 상태에 놓입니다. 이는 꿈에서의 움직임이 실제로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보호 기작입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는 감정적으로 강렬한 경험이 이러한 보호 기작을 무너뜨리고, 실제 신체적 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꿈에서 소리를 지르는 상황이 실제로 소리를 지르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뇌의 감정 처리와 관련된 변연계가 활성화되면서, 자율신경계를 통해 실제 신체 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입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그건 아마도 실제로 꿈을 꾸고 있을 때 그게 꿈인지 인지를 못 하고 현실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꿈에서 느끼는 감정이나 행동이 실제 신체 반응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뇌와 신체 간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꿈은 주로 렘(REM) 수면 단계에서 발생합니다. 이 단계에서 뇌는 매우 활발하게 활동하며, 감정과 기억을 처리합니다. 렘 수면 동안 뇌의 활동은 깨어 있을 때와 유사하며, 이 때문에 꿈에서 경험하는 사건이 현실처럼 생생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REM 수면 동안 대부분의 근육은 마비 상태에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꿈속에서 실제로 움직이지 않도록 보호하는 메커니즘입니다. 하지만, 이 마비가 완전하지 않을 때, 꿈에서의 움직임이 실제 움직임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수면 중 발현되는 행동장애로, 렘 수면 행동장애(REM Sleep Behavior Disorder)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꿈에서 강한 정서적 경험(예: 다급함, 공포, 슬픔)은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박수가 증가하거나 눈물이 나오는 등의 실제 신체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슬픔이나 다급함 같은 감정은 뇌의 변연계(특히 편도체와 해마)에 의해 처리됩니다. 꿈에서 이러한 강한 감정을 느낄 때, 뇌는 실제 상황에서처럼 신체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슬픔을 느끼면 눈물이 나고, 다급함을 느끼면 소리를 지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꿈 속에서 감정을 강하게 느끼는 것은 꿈 상태에서도 뇌가 실제 상황을 경험하는 것처럼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뇌는 꿈을 경험하는 동안 현실과의 경계를 느끼지 않고 감정을 진심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꿈 속에서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고 실제로 그것을 체감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꿈은 무의식적인 마음의 상태를 반영하기도 하며, 때로는 감정을 다양하게 경험하고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꿈속에서 급하거나 다급한 상황에서 소리를 지르고 눈물을 흘리는 경험은 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현상입니다.
꿈속의 감정이 현실로 나타나는 이유는 우리 뇌의 작동 방식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꿈을 꿀 때 뇌는 깨어 있을 때와 비슷하게 활발하게 활동합니다. 특히 감정을 조절하는 부분이 활성화되어 강렬한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또 꿈은 매우 생생한 이미지와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현실과 혼동될 수 있습니다.
게다가 꿈속의 상황에 따라 심장 박동수가 빨라지고 땀이 나거나 근육이 긴장되는 등 자율신경계가 반응하여 실제와 같은 신체적 변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리고 소리지르고 눈물을 흘리게 되는 이유는 꿈속의 위협적인 상황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본능적인 반응이며 억눌려 있던 감정을 꿈을 통해 표출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또 꿈속의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적인 반응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꿈 속에서 감정이 현실적으로 느껴지고, 몸이 그에 반응하는 현상을 '루시드 드림(Lucid Dream)'이라고 합니다. 루시드 드림은 꿈 속에서 자신이 꿈을 꾸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상태를 말하며, 이때 감정이나 생리적 반응이 실제와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뇌는 꿈 속에서 일어나는 일을 현실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꿈 속에서의 감정이나 상황이 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꿈 속에서의 감정이나 상황이 현실에서 느끼는 것과 유사한 감정을 일으키기 때문에, 몸이 반응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꿈에서 다급하거나 슬픈 상황을 경험할 때 실제로 소리를 지르거나 눈물이 나는 이유는 꿈과 현실을 구분하는 뇌의 일부 기능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감정이 강하게 작용할 때, 뇌는 그 감정을 실제 상황으로 착각하고 신체 반응을 유도합니다. 이로 인해 꿈에서 소리를 지르거나 울 때 실제로도 그 반응이 나타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