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강력한여새275
강력한여새275

지렁이 관련 하여 궁금해서 질문올려봅니다.

지렁이는 땅속에서 토양을 정화 시켜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비가 많이 오면 땅속에 빗물이 많이 스며듭니다. 이때 지렁이는 밖으로 나오는데 왜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비가 많이 오면 지렁이가 땅 밖으로 나오는 이유는 땅속이 물로 차면서 산소가 부족해지기 때문입니다. 지렁이는 피부를 통해 산소를 흡수하는데, 물이 너무 많이 스며들면 토양 속에서 산소가 부족해져 호흡이 어려워집니다. 그래서 지렁이는 공기가 더 잘 통하는 지상으로 나와 호흡을 유지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비가 많이 오면 땅속의 산소가 줄어들고, 물이 많이 차서 지렁이가 호흡하기 어려워집니다. 그래서 지렁이는 산소를 더 잘 얻기 위해 밖으로 나오는 것이죠. 또 물속에서 밀려 올라오기도 하며, 더 안전한 곳을 찾아 이동하려는 습성이라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지렁이는 땅속에서 호흡을 하는데, 과도한 빗물로 인해 토양의 산소가 부족해질 수 있어요. 이때 산소를 찾기 위해 밖으로 나오는 거예요.

    물이 많이 스며들면 토양의 수분 압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지렁이가 땅속에서 이동하기 어려워질 수 있어요. 그래서 더 안전한 곳인 지표면으로 나오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