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이 필요한 시점인데요 탄소중립이 되어가고있는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탄소중립이 필요한 시점인데요 탄소중립이 되어가고있는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정확한 수치를 볼수있는 장비? 그런거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소배출량은 보통 화석연료의 사용량에따라서, 또는 에너지생산량과소모량에 의해서 계산됩니다.
즉, 에너지 사용량이 줄어들거나 생산량이 줄어든경우 탄소배출정도가 적어졌다고 판단이됩니다.
또한 에너지 생산량중에서도 친환경에너지나 탄소저감에너지로 발전되는경우 탄소배출량이 오히려줄어들게 책정되기도합니다.
감사합니다.
탄소중립이란 것이 당장 하자고 되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탄소중립 목표도 2050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서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잘 보시면 어느 정도 수치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소 중립을 실천하기 위해
정부가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생활 속 온실가스 줄이기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정보를 담은 '탄소중립 생활 실천 안내서'를 2021년 8월 5일 발간했습니다.
이번 안내서는 국민들이 온실가스 저감 실천에 대한 필요성을 공감하고,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수칙을 제시하고, 이행 방법을 알려줍니다.
국내외 사례 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난 3월 '국민생각함*'을 통해 실시한 생활 속 온실가스 줄이기 실천 설문조사 결과와 전문가 자문 등을 토대로 개발됐습니다.
최종적으로 탄소중립 청년 응원단(서포터즈), 시민단체, 지자체, 교육청, 관계부처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81개 수칙과 시설개선 등의 부록 내용을 담았습니다.
안내서는 가정편, 학교편, 기업편 등 3개 부문별로 실천 주체를 나눠 탄소중립 정책과 연계하여 ▲에너지 ▲소비 ▲수송 ▲자원순환 ▲흡수원 등 5대 분야에서 실천할 수 있는 수칙으로 구성됐습니다.
'가정편'은 개인과 가정에서의 생활 실천수칙이 중심이며, '학교편'에서는 실천을 위한 교육 요소를 담았다. '기업편'에는 지속가능경영, 사회적 책임(CSR)과 연계할 수 있는 공익활동 요소를 포함했습니다.
공통적으로는 실천 방법, 온실가스 감축 효과 및 관련 사례, 정부지원제도 등 생활 실천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도 수록했습니다.
특히, 인식과 행동 개선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친환경 시설 개선을 통해 더 많은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도록 '시설 개선' 부문을 부록으로 추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