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기사 키보드 이야기가 나왔는데요?
유튜브 미국 최연소 검사 18세 피터박 집안의 특별한 비법에서 속기키보드를 제작해서 사업을 하고 있다고 하길래 갑자기 궁금해졌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속기사가 되기 위해 어떤것을 준비해야 하나요? 1급 2급으로 나뉘어져 있나요? 속기사 자격을 취득한뒤 진로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속기사가 되기 위한 준비와 자격 등급
속기사는 회의, 강연, 법정 등에서 발언자의 말을 빠르고 정확하게 기록하는 전문 직업입니다. 속기사는 속기 키보드(대표적으로 CAS, 소리자바 등)를 사용해 실시간으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법원·국회·방송국·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합니다.
속기사 자격증 등급
한글속기 자격증은 1급, 2급, 3급 세 등급으로 나뉩니다.
등급이 높을수록 난이도와 요구되는 실력이 올라가고, 취업 시 더 유리합니다.
각 등급별 시험은 연설체와 논설체 두 과목으로 구성되며, 각 과목별 90% 이상의 정확도를 요구합니다.
등급 연설체 분량 논설체 분량 속기 시간 번문 시간
1급 1,650자 1,500자 5분 10분
2급 1,500자 1,350자 5분 10분
3급 1,350자 1,200자 5분 10분
응시 자격 제한은 없으며 누구나 도전할 수 있습니다.
준비 방법
속기 키보드 구입 후, 속기 학원에서 1~2년간 집중적으로 연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독학도 가능하나, 난이도가 높아 대부분 학원이나 국비지원 교육을 이용합니다.
실기 위주의 시험이므로, 속기 속도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반복 연습이 필수입니다.
사용 가능한 속기 프로그램은 CAS, 소리자바, KS표준속기 등으로 제한됩니다.
시험 일정 및 합격률
연 2회 시험이 있으며, 1급의 경우 합격률이 10% 내외로 매우 낮은 편입니다.
시험 접수와 일정 등은 대한상공회의소 자격평가사업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속기사 자격 취득 후 진로
속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다음과 같은 진로가 열립니다.
공공기관 취업: 국회, 법원, 지방의회, 검찰, 경찰 등에서 속기직 공무원(9급 등)으로 취업할 수 있습니다.
기업 및 방송국: 대기업, 방송국, 신문사, 교육기관 등에서 회의록 작성, 자막 방송, 문자통역 업무를 담당합니다.
프리랜서/창업: 경력을 쌓은 뒤 프리랜서 속기사로 활동하거나, 속기사무소를 직접 창업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수 분야: 경찰청 해바라기센터(수사 속기사), 대학 장애학생 지원센터(문자통역 속기사) 등 특수 기관에서도 수요가 있습니다.
연봉 및 전망
초봉은 약 2,800~3,300만 원, 중위 연봉은 3,400만 원대입니다.
경력을 쌓으면 연봉 6,000만 원 이상도 가능합니다.
인공지능 등 자동화 기술이 발전해도, 정확한 기록과 상황 파악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속기사가 여전히 중요하며, 전망이 밝은 편입니다.
요약
속기사는 1급, 2급, 3급 자격증이 있고, 1급이 가장 어렵고 유리합니다.
속기 키보드와 학원 교육을 통한 체계적인 준비가 일반적입니다.
자격 취득 후에는 공공기관, 방송국, 기업, 프리랜서 등 다양한 진로가 있습니다.
연봉과 전망도 꾸준히 안정적인 편입니다.
속기사는 단순한 타자 실력뿐만 아니라, 높은 집중력과 전문 용어 이해력, 실전 경험이 중요한 전문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