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토목공학

남해안돌문어93
남해안돌문어93

높은 산에서 밥을 하면 삼층밥이 되던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남해안돌문어93입니다.

평소 집에서 밥을 하면 아무 문제가 없는데 높은 산에서 밥을 하면 삼층밥이

되는데 이런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

    높은곳을 가면 갈수록 기압이 낮아집니다. 기압이 낮아지게 되면 끓는점이 낮아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충분한 열을 받지 않았지만 물이 끓기 때문에 밥이 평소와는 낮은 온도에서 되게 되면서 물이 먼저 증발하여 설익은 밥이 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은 산에서 밥을 짓다 보면 '삼층밥'이 되는 현상은 고도와 기압의 변화에 기인합니다. 이 현상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지는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기압이 낮아지면 물의 끓는 점이 낮아집니다. 해수면에서의 기압에서 물은 100도에서 끓지만,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지며, 이에 따라 물이 끓는 온도도 낮아집니다.

    예를 들어, 높은 산에서는 기압이 낮아져서 물이 90도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끓게 됩니다. 이렇게 낮은 온도에서 밥을 짓다 보면, 밥알이 완전히 익기 전에 물이 먼저 끓어버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 결과 밥솥 안의 밥은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물층', '미음층', '밥층'으로 나뉘게 됩니다. 이를 '삼층밥' 현상이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높은 고도에서는 밥을 맛있게 지으려면 레시피나 조리법을 조금 수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물의 양을 조금 더 많게 하거나, 조리 시간을 늘리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낮은 온도에서 물이 끓기 때문에 밥이 설익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에 올라가면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압력이 낮아지게 됩니다. 그런 상태에서 냄비에 물을 끓이면 압력이 낮아서 끓는점이 낮아지면서 물이 실제 지상에서보다 빨리 끓고 그래서 수증기가 되어서 빠르게 날아가게 됩니다. 그럼 맨위에 쌀은 수증기가 빨리 날아가서 열을 덜받아서 덜익게 되고 냄비와 가까운 쌀은 물기가 없어서 바로 열을 전달 받아서 타게 되고 중간 쌀은 익고 그래서 삼층밥이 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럴때는 냄비에 돌을 올려 놓고 압력을 높여서 어느정도 방지할수 있습니다.

    (도움 : 나무위키 - 삼층밥)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은 산에서는 기압이 낮기 때문에 물의 끓는점이 낮아집니다. 물의 끓는점이 낮아지면 밥이 제대로 익지 않은 채 물이 끓게 되어 증발하고, 밥은 물이 모자라 타게 됩니다. 냄비의 윗 부분은 열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설익게 되고, 반대로 가장 아랫쪽 밥은 냄비의 두께가 얇아 열이 과하게 전달되는데다 3층이 설익는다고 오래 불 위에 올려놓는 바람에 더욱 타기 쉽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는 대기압의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높은 산은 해발고도가 높아지면서 대기압이 낮아지는데, 대기압이 낮아지면 물의 끓는점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밥을 끓일 때는 물의 끓는점인 100도에 도달하면 밥이 익게 됩니다. 그러나 높은 산에서는 대기압이 낮아져 물의 끓는점이 낮아지기 때문에, 100도에 도달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밥이 익지 않고 설익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네높은 산에서 밥이 삼층밥이 되는 이유는

    바로 기압의 차이 때문입니다.

    기압은 공기의 무게를 나타내는 것으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은 낮아집니다.

    압력이 낮아지면 물이 끓는 온도도

    낮아지기 때문에 높은 산에서

    밥을 지으면 물이 충분히 끓지 못하고

    밥이 설익게 됩니다.

    높은 산에서는 공기가

    희박하기 때문에 열이 잘 전달되지 않습니다.

    밥의 바닥은 열이 집중되어

    타게 되고 밥의 윗부분은

    열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설익게 됩니다.

    물을 조금 더 많이 넣는다.

    물이 많으면 끓는점이 높아져

    밥이 더 잘 익게 됩니다.

    뚜껑을 덮고 센 불에서 끓이니다.

    뚜껑을 덮으면 열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센 불에서 끓이면 밥이 더 빨리

    익게 됩니다.

    냄비 위에 돌이나 뚜껑을

    덮어 압력을 높입니다.

    압력이 높아지면 끓는점이

    높아져 밥이 더 잘 익게 됩니다.

    아울러 산에서 밥을 지을

    때는 화재 예방에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은 산에서 밥을 먹을 때 삼층밥이 되는 현상은 기압 변화에 의한 것입니다. 높은 산의 해발 고도가 높을수록 대기의 기압이 낮아지는데, 이로 인해 밥을 지을 때 발생하는 기압 차이가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