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공학

반반한쇠오리101
반반한쇠오리101

ppm 계산하는데 구한 값이 맞나요?

4.7mg, 1.5mg, 0.5mg 을 동일한 ppm으로 맞춰야 해서 5000ppm으로 맞추는데

그러면 각 0.94ml, 0.3ml, 0.1ml 씩 수용액을 넣으면 되는게 맞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네, 계산을 잘하셨습니다.

    각각 저울로 측정하신 후 마이크로피펫으로 정확하게 부피에 맞는 물(혹은 증류수)로 녹인다면 원하시는 5,000ppm 농도가 되는 것이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전문가입니다.

    ppm 계산하는데 구한 값이 맞는지 궁금하시군요. 4.7mg, 1.5mg, 0.5mg을 각각 5000ppm으로 맞추고 싶으신 거죠? 그러면 맞는지 한번 살펴볼게요.

    먼저, ppm은 백만분율을 나타내는 단위예요. 5000ppm은 5000mg/L, 즉 1리터(1000ml) 수용액에 5000mg의 물질이 포함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럼 각 물질의 양을 계산해볼게요.

    4.7mg을 5000ppm으로 맞추려면, 4.7mg이 5000ppm이 되려면 전체 용액의 양이 얼마가 되어야 할까요? 간단히 4.7mg을 5000mg/L로 나누면 돼요. 계산하면 4.7mg / 5000mg/L = 0.00094L, 즉 0.94ml가 되네요. 그래서 4.7mg을 5000ppm으로 만들려면 0.94ml의 용액이 필요해요.

    다음으로, 1.5mg을 5000ppm으로 맞추려면 같은 방법으로 계산해볼게요. 1.5mg / 5000mg/L = 0.0003L, 즉 0.3ml가 필요해요.

    마지막으로, 0.5mg을 5000ppm으로 맞추려면 역시 같은 방법으로 계산해서 0.5mg / 5000mg/L = 0.0001L, 즉 0.1ml가 필요하네요.

    결론적으로, 각 0.94ml, 0.3ml, 0.1ml의 수용액을 넣으면 각각 4.7mg, 1.5mg, 0.5mg의 물질이 5000ppm에 맞게 됩니다. 네, 구한 값이 맞네요. 잘 계산하셨어요!

  • 각각 0.94mL, 0.3mL, 0.1mL의 용액을 넣으면 4.7mg, 1.5mg, 0.5mg의 용액을 5000ppm으로 맞출 수 있을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