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청초한매미177
청초한매미17723.03.09

비행기 안에서 비행기모드로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비행기를 타면 비행기모드를 하게 되는데, 무엇 때문에 비행기 모드로 해야되는지 궁금합니다. 요즘에는 비행기 안에서 와이파이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LTE/5G를 켜는 것과 와이파이 하는 것은 다른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용찬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모드를 하라고 하는데 그 이유는 혹시라도 있을지 모를 비행기와의 전파간섭을 막기 위해, 이후에는 저고도 비행 시 핸드폰 기지국에 걸리는 과부하를 막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 모드(비행기 전자기기 사용 제한 모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노트북 등 전자기기를 비행기 안에서 사용할 때 발생하는 전자파가 비행기의 전자 장비에 간섭을 일으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비행기는 고도가 높아지면서 대기압이 낮아지고 주변의 전자기파에 민감해집니다. 비행기 안에서 전자기파가 발생하면 비행기 전자 장비에 간섭을 일으켜 통신 장애나 시스템 오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비행기 내에서는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모든 전자기기 사용이 금지되며, 이를 위해 비행기 모드가 적용됩니다.

    비행기 모드를 사용하면 모바일 기기 내의 무선 신호 발신기능, GPS 등이 중지되어 전자기파를 방출하지 않으므로 비행기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행기 모드에서도 화면 보호기능이나 스피커 등 일부 기능은 작동할 수 있으므로, 항공사나 항공국에서 발표하는 안전 규정을 참고하여 안전한 사용 방법을 따라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9

    비행기 안에서 핸드폰이나 태블릿 등을 사용할 때 비행기 모드를 켜는 이유는 대개 항공기의 전자기기를 방해하지 않기 위함입니다. 비행기 모드는 핸드폰이나 태블릿 등의 무선 신호를 끄는 것으로, 이를 통해 항공기의 전자기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항공국이 정한 안전규정에 따라 이를 준수해야 합니다.

    와이파이와 LTE/5G는 둘 다 무선 신호를 사용하지만, 전송 방식이 다릅니다. 와이파이는 지상의 무선 인프라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합니다. 반면에, LTE/5G는 이동통신사의 기지국과 연결하여 무선 신호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LTE/5G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비행기 모드를 켜는 것이 좋습니다. 비행기 모드를 켜면, 항공기의 전자기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항공국이 정한 안전규정을 준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 모드는 핸드폰의 전파를 차단하여 비행기 안에서 전파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비행기 모드로 설정하면 핸드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에서 전화, 문자, 데이터 등의 통신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며, 무선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이는 항공기의 전자 장비 및 탑승객의 전자기기 간 간섭을 최소화하고, 항공교통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안녕하세요. 비행기 모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전자기기를 비행기 내부에서 사용할 때 발생하는 전자기파가 비행기의 전자기 기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비행기 내부의 전자기 기기는 비행 안전을 위해 특별한 검증과 인증을 거치고 설치되어 있으며, 비행기 내부의 전자기파가 정확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전자기파가 끊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비행기 모드를 켜면 스마트폰의 무선 기능이 꺼지고, 전화나 문자 등의 통신 기능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비행기 모드를 켠 상태에서는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기능은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와이파이는 비행기 안에서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연결이기 때문에 지상에서와는 전혀 다른 무선 기술과 주파수를 사용하며, 비행기 내부 전자기 기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LTE나 5G는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통신 기술로, 지상에서 지속적으로 전송되는 전자기파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비행기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비행기 모드를 켠 상태에서도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일부 항공사에서 비행 중에도 와이파이 이용과 함께 LTE나 5G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에는 비행기 모드를 해제하고, 항공사에서 제공하는 전용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모드는 전자기기의 통신을 차단하는 기능입니다. 비행기 모드를 켜면, 3G, LTE, 5G와 같은 셀룰러 통신은 물론이고 Wi-Fi와 블루투스 등의 모든 무선 통신을 쓸 수 습니다.

    이유는 혹시라도 있을지 모를 비행기와의 전파간섭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사실 이 기능은 실제 안전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서 있는 것은 아닙니다. 1960-70년대 미국 연방항공청에서는 휴대용 라디오나 전자기기에서 나오는 전파가 전파를 사용하는 항공기의 통신장비나 항법장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까 고민을 하게 되고, 모든 전자기기를 테스트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이런 기능을 통해 제한한 것이죠.

    비행기에서 제공하는 WiFi는 비행기가 사용하는 전파에 간섭을 주지 않는 것이 확실한 전파이기 때문에 허용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 모드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전자기기를 비행 중에 사용할 때 필요한 모드입니다. 비행기 모드를 켜면, 전자기기가 발생시키는 전자파를 최소화하여 비행기의 전자기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합니다. 이는 비행기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 중 하나입니다.

    또한, 비행기 모드를 켜면 전화, 문자, 데이터 통신 등의 무선 통신 기능이 차단되므로, 비행기 내에서 전자기기를 사용해도 다른 비행기나 지상국의 무선 통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비행기 모드를 켜지 않으면, 전자기기가 비행기의 기기와 무선 신호를 교환하면서 비행기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비행 중인 다른 비행기의 기기와 충돌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행기 내에서는 이러한 안전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비행기 모드를 켜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