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이렇게 고금리가 오래 지속된 적이 있나요?

현재 미국 기준금리가 5.5%로 알고 있는데요.

올해 금리 인하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하더라고요.

지금까지 이렇게 급격하게 금리를 올리고 오래 유지한 적이 있나요?

5.5%면 매우 높은 것 같은데 미국 경기가 좋다는 것도 대단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과거에는 현재와 다르지만 미국과 같은 경우에도 스태그플레이션 당시에 금리가 15%를 넘는 등 이러한 고금리를 상당기간 유지한적도 있습니다.

  • 일단 아주오래전까지 찾아보지 않았는데 1990년대 중후반에 미국기준금리가 5~6%대로 몇년간 유지되었던 기록이 있네요

    과거에는 기본 금리가 지금보다 꽤 높았던 시기라 지금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현재 5.5%에 미국 경기가 이정도 버티는것은 경제의 기초체력이 매우 좋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경제체력이 부족해서 3.5%수준에서 머물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네 안녕하세요. 과거 1997년 국제금융위기 사태나, 2007년 미국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 모두 1년 내외로 고금리가 안정화되었던 일이고 이번처럼 2년넘게 5%유지는 근래 겪어보디 못한 일입니다. 에초 올초부터 인하를 예상했으나 각종지표로 인해 지연되고 있어서 안타깝습니다. 한번은 인하할걸로 예상됩니다.

  • 질문해주신 미국의 기준금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중에서 5.5퍼센트는 매우 높은 편은 아닙니다.

    1970년대 후반에는 무려 20퍼센트에 가까운 기준금리로 대략 3-4년이 지속되던 시절도 있었고

    그 이후로도 5퍼센트가 넘는 금리가 유지되던 시절이 상당히 자주 있었습니다.

  • 최근 10년 간에, 미국 역시 이처럼 고금리 기조가 계속된 적은 없었습니다.

    코로나 19 이후 촉발된 물가 상승을 억제하고자, 고금리 정책을 펼치고 있음에도 여전히 경제는 고성장 중입니다.

  • 미국의 금리가 현재 5.5%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은 역사적으로도 몇 차례 있었습니다. 1980년대 초반 폴 볼커 시대에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가 20%까지 올랐고 약 2년간 유지되었습니다.

    2000년대 초 닷컴 버블 붕괴 후에도 금리가 6.5%까지 인상된 바 있습니다. 현재의 고금리는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과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조치로, 과거 사례와 유사하게 경제 안정화를 목표로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