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winner
winner

1997년 외환위기가 어떻게 생기게 되었으며, 왜 터지기 전에 미리 국민에게 알리지 않았을까요?

우리나라에서 1997년에 일어났던 IMF사태는 한국사회를 완전히 뒤흔들어 놓을 만큼 끔찍한 일이었죠. 그때 기아자동차가 안좋다는 소문이 들려서 그 회사 걱정을 했던 기억이 나는데.. 몇달후에 외환위기가 왔죠. 구조적으로 우리나라에 어떤 문제가 있어서 그랬던건지 아니면 정말 갑자기 발생이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97~1998년 한국의 IMF 금융위기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들이 있는데 공통적으로 언급되는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글로벌 투기 세력의 공격

      2) 비현실적으로 고평가 된 원화 가치

      3) 당국의 미흡한 준비 및 대응

      사실 상기 1)~3)은 모두 서로 연관 되어 있습니다. 당시 소로스의 퀀텀펀드 같은 대형 헷지펀드는 통화, 금리, 주식 시장 등이 실제 가치와 비대칭을 보이고 이에 대한 해당국 정부의 인지도가 낮고 대비가 안되어 있을 경우 집중 공략하여 굴복시킵니다. 실제 1992년 조지 소로소는 영국 파운드화와 독일 마르크화의 차익 거래를 통해 영국 파운드화를 집중 공략하여 영국 금융 당국을 초토화 시키며 엄청난 차익을 거두었습니다.

      1997년부터 소로스는 동남아시아 신흥국들을 집중 공략합니다. 당시만 해도 한국은 아시아의 3마리 용(=한국, 대만, 싱가폴)으로 칭송 받으며 승승장구하고 있었고 김영삼 정부는 선진국 클럽인 OECD에 가입하는 등 너무 일찍 샴페인을 터뜨립니다.

      당시 너무 고평가 된 원화 가치를 점진적으로 정상화 하고 달러 등 외환보유고를 충분히 쌓아 두었으면 일시에 금융이 붕괴하며 경제가 마비되는 치욕은 겪지 않았을 겁니다. 익히 알려진 바 대로 한국이 IMF에 구제 금융을 받으며 고금리 정책에 수많은 기업이 쓰러지고 국내 우량 자산들이 외국 자본에 넘어갔습니다.

      질문자님의 질문처럼 이런 위기를 왜 정부가 국민에게 알리지 못했을까요? 먼저 위기가 턱 밑까지 왔어도 인지 하지 못했고 인지한 때는 늦었습니다만 국민들에 고지를 하면 대규모 뱅크런이 발생하여 아마도 국내 금융 시장은 재기 불능 상태에 빠졌을 수도 있습니다.

      금 모으기 운동도 있었습니다만 당시 대부분의 국민들은 자신이 맡긴 은행 예금과 외화를 제때에 찾지 못하는 손해와 불편을 자발적, 비자발적으로 감내하며 '나라를 구한' 셈입니다. 이처럼 리더의 중요성을 절감하는 역사적인 아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우리나라의 외환 위기는 이전 30여 년간 급하게 성장해 온 경제 발전 과정에서 쌓인 문제점이 폭발하면서 일어난 것이었rh. 기업의 경쟁력 약화, 수출 감소, 기술개발미흡등, 경제 문제가 잠제되어 있는지를 알지 못한 국가의 무능력한 탓이라고 볼수 있습니다.한국은행에 있던 외환은 다 떨어져 나라의 경제가 파산되고, 많은 기업과 금융 기관이 기능을 못하고 문을 닫았으며, 직장을 잃은 실업자가 쏟아져 나와 가정 경제는 큰 어려움에 빠졌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외환위기의 원인은 여러 가지로 나눠볼 수 있지만 단적으로 말한다면 경제개발기에 성공적이었던 정부 주도의 경제개발, 관치금융, 재벌체제 등이 오히려 위기를 초래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업들은 ‘문어발식 확장’으로 무리한 투자를 했고 몸집을 불렸습니다. ‘대마불사(Too big to fail, 규모가 너무 크면 정부가 망하도록 내버려두지 않는다)’를 믿고 계열사들을 마구 늘렸습니다. 한보비리 사건에서 보듯이 정치권과 기업 간의 ‘정경유착’도 불합리적인 대출이나 투자를 부추겼습니다.

      위기 조짐은 1997년 1월 한보철강이 최종 부도로 쓰러지면서부터 감지됐습니다. 3월부터 삼미, 진로, 대농, 한신공영, 기아 등 대기업 그룹들이 연쇄 부도가 났고 7월에는 태국 바트화가, 8월에 인도네시아 루피화가 폭락하면서 아시아 국가들이 외환위기의 소용돌이에 빠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