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머쓱한까마귀76
머쓱한까마귀7622.11.28

12월 금리인상 예상되는데...

올해 마지막 금리인상 예정되어있는데 0.5%인상을 많이 이야기하던데 그에따른 우리나라 금리도 인상도 시킬까요.아님 지금 금리를 유지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환율상승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인플레이션 상승을 막기위해서라도 미국의 기준금리를 쫒아가야 할 것 같습니다.

    다만 올해는 금통위 일정이 11월 24일을 끝으로 마무리되었고 내년 1월에 금통위 일정이 있어 올해는 3.25%로 마무리되고 올 연말의 환율 추이를 보면서 1월의 금리인상수준을 0.25%~0.5% 인상을 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도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인상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기에 우리나라도 내년 중반까지는 금리 인상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에 내년 중반이 우리나라의 금리의 정점이 될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올해 금리 결정은 더 이상 없고

    내년부터 금리결정이 다시 재개되므로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더욱 더 벌어진다면 외화유출 및 투자자본 등이 줄어듬에 따라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확률이 높아보이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올해 연준의 금리인상은 1회 남았으며 빅스텝이나 베이비스텝이 예상되며 우리나라 금리인상은 올해는 계획이 없으나 연준이 금리인상을 12월에 실시하면 금리차가 더욱더 발생되어 내년초에 금리인상은 불가피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올해 한은 금리는 이미 끝났습니다. 내년초에 예정되어 있구요. 미국 금리의 경우 계속 올릴것 같은데 5.25~5.50 정도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아마 한국도 내년에 베이비스텝으로 올릴 가능성이 높을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9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12월 FOMC에서 금리인상을 하여도 한국은 올해 금통위에서 금리인상이 끝났으므로 내년에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3년 금통위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