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발랄피노키오
발랄피노키오

몸에서 사리가 나오겠다는 표현이 있는데 사리는 과학적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부처님의 몸에서 사리가 나왔다고 하는데 보통 사람의 몸에서도 나오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화장을 했는데도 타지 않은 사리는 무엇일까요? 어떻게 그럴 수 있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작은말벌290
    작은말벌290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리는 몸의 근육, 인대, 힘줄 등의 조직이 과도한 활동, 부상 또는 연령으로 인해 찢어져서 생긴 손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통증, 붓기, 염증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휴식, 얼음, 염증을 줄이는 약물, 물리치료 등으로 치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리는 뼈조각으로써 정상적인 뼛조각이 아니라 변형된 뼈조각입니다.

    오랜세월동안,잘못된 자세로 앉아있으면 그럴수 있다고 합니다. 유명한 스님들은, 고로 대중의 호기심에 반응하는 사리줍기를 일체 금하기도 하였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리"는 일반적으로 몸의 조직 속에 존재하는 물질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형성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축적물은 미생물, 염증, 부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크기나 형태는 다양합니다.

    사리는 일반적으로 염증과 관련이 있으며, 몸이 외부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염증 반응은 특정 부위에 혈액과 백혈구 등의 면역세포가 모여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이러한 면역세포들이 사리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몸의 조직 속에 존재하는 물질이 몸에서 제거되지 못하고 축적되는 경우에도 사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리를 제거하기 위해 수술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전엔 결석이나 담석이라는 의견이 팽배 했으나 1995년 인하대에서사리를 제공받아 연구한결과

    대부분은 일반 뼈 성분과 같지만 티타늄,리튬,프로트악티늄등 12개의 금속이 발견 되었고

    이중 방사성물질도 있어서 사리에서는 방사성에너지가 나오는중이라고 봐야합니다.

    강도면에서도 강철보다 단단한것도 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소공남 과학전문가입니다.

    참된 수행의 결과로 여겨지는 구슬 모양의 유골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입니다.

    불교에서 다비식을 마치면 분말 또는 구슬 형태의 사리가 나오기도 합니다.

    사리 성분에 방사선원소인 프로악티늄을 비롯한 다른 중금속이 결합되어 강철보다 훨씬 높은 강도로 불에 견디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리는 인간의 몸에서 콩팥의 결석과 간이나 쓸개의 담석과 같은 몸속의 결석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결석은 모두 칼슘을 포함하며, 나이가 많아질수록 잘 생긴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리는 요로결석같은 것이 인체에 쌓여 사후 화장시 타지않고 남게 되는 것입니다.


    도를 닦아 나오는게 아니고, 신장질환등에 의해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