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깍듯한두견이14
깍듯한두견이1421.07.16

수면 위내시경하다 무호읍증으로 중단됐는데 어떻게 하면되나요?

위조영술로 건강검진을 5월에 받았습니다

그런데 위쪽에 0.5밀리 용종이 있어 조직검사를 받으라고해서 건강검진받은 한국건강관리협회에 다시접수 해서 6월 수면 위내시경으로 용종을 제거하려 했는데 도중에 의사가 약물을 사용 깨워 일어나보니 간호사랑 의사가 놀란표정으로 화를 내시면서 산소포화도가 떨어져 못했다며 무호흡증 이야기를 사전에 안했다고 뭐라 하더라구요 몰랐다고 했더니 다음에 일반내시경으로 하라고 하더라구요

질문좀 할께요

1. 이게 정말로 위험한건가요?

2. 저는 비워가 약해 내시경이 힘들어 처음 한건데 다른 큰 병원에 가서 수면 내시경을 받아도 될까요?

3. 크기가 작은것 같은데 내년에나 검사를 받아도 될까요?

어떻게 하면 좋을지 몰라 질문 드려 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산소포화도가 떨어졌다는 이야기는 전신에 산소가 돌지 않았다는 이야기이며, 이는 심정지에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상황입니다.

    2. 다른 큰 병원에 가서 수면 내시경을 받아도 진정을 하였을 때 산소포화도가 떨어진다면 위험한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힘들더라도 진정제 투여를 안 하고 그냥 내시경 하는 것이 안전하겠습니다.

    3. 용종은 발견하면 가급적 빠르게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방치하였다가 악성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니 너무 미루지 않으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기덕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면내시경 도중 산소포화도가 떨어지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특히 수면 상태에서는 지시에 따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일반 내시경을 하시는 것을 더 권합니다.

    다른 병원에서 다시 검사 받을 때 결과는 미리 예측하긴 어렵습니다.

    문제가 없이 진행될 수도 있고, 비슷한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가급적이면 수면 내시경보다는 일반 내시경을 하시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용종은 크기로는 판단이 어렵고 모양이 중요합니다만,

    종종 양성으로 보이는 경우에도 검사를 하면 선종이나 암이 나오는 경우가 있어서,

    찜찜하면 조직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잘라서 현미경으로 보는 조직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경험이 많은 의사도 육안으로 확진을 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무호흡증이 나왔다는 것은 수면 내시경 이후에 마취에 의해서 깨어나기 힘들거나 기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해 질식사로 일어날 수 있으며 무호흡이 심한 사람들은 수면 내시경이 힘듭니다.

    2. 다른 병원에 가더라도 무호흡증이 있다면 할 수 없을 것이며 수면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하셔야 합니다.

    3. 용종 자체에 대해서는 평가할 수 없으며 가장 정확한 것은 병리조직학적 검사입니다. 그 전까지는 용종이 어떻게 변할지 양성인지 악성일지 알 수 없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단, 다음부터 가능하면 일반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산소포화도가 떨어지면 뇌손상가능성이 있어 위험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면을 하면서 약효가 호흡기에까지 영향을 미친것같습니다.

    자칫잘못하면 심폐소생술을 해야될수도 있습니다.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