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7

구름은 어떻게 계속 하늘에 떠있나요?

안녕하세요. 구름은 물방울 또는 얼음 알갱이로 주로 이루어져있다고 들었는데

구름은 어떻게 해서 떨어지지 않고 하늘에 계속 떠있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꾸준한독서가
    꾸준한독서가23.01.17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공중에 떠 있는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늘에 머물러 있습니다. 습한 공기가 상승하고 냉각될 때 형성되어 공기 중의 수증기가 눈에 보이는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응결됩니다. 물방울과 수정은 가볍고 상승 기류로 알려진 기류의 상향 이동으로 인해 하늘에 떠 있을 수 있습니다. 구름의 고도와 유형은 온도와 공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의 양에 따라 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떠있는 이유는 지표면과 성층권 사이의 공기의 온도차이에 의해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쉽게 말해 뜨거운 공기는 상승하려고 하는데, 이 상승하는 공기가 구름을 이루는 수증기를 밀어올려서 위로 떠있을 수 있게 하는 겁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끊임없이 상승해야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어느 정도 높이에 도달하면 낮아진 온도에 의해 물로 응축되어 비가 내리거나, 눈으로 내리기 때문입니다. 과학시간에 성층권에 기상활동이 있다고 배우셨거나 앞으로 들으실텐데 이곳이 구름이 존재하는 영역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대로 구름은 물 입자 또는 얼음 입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 하나가 매우 작고 가벼워서 작은 구름 입자 하나하나가 상승 기류를 타기 때문에 구름 전체가 떠 있는 것입니다.

    수치상으로는 초속 1cm 정도의 상승 기류만 있어도 구름 입자를 지탱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형성될 때 공기의 한 부분이 상승기류를 만나 상승하여 구름이 되었고, 바람이나 다른 기류를 통해 이동하기 때문에 집단을 흩어지지 않고 움직입니다. 또한, 밀도가 높지 않은 수증기 덩어리이기 때문에 아주 약한 상승기류에도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고 둥실둥실 떠있을 수 있습니다.


  • 구름은 공기 중에서 상승하는 열에 의해 형성됩니다. 이러한 열은 일반적으로 땅에서 올라오는 열(예를들어 기온이 높은 곳이나 강수량이 많은 곳) 또는 하늘에서 떨어지는 열(예를들어 고리태양광 태양빛)에서 발생합니다.

    구름은 이러한 열을 통해 형성되며, 구름 안의 물방울 또는 얼음 알갱이는 상승하는 공기 중에서 이동하며 어떤 계기에 의해 일어나는 압력, 온도, 습도 등의 변화에 의해 이동하게 됩니다. 구름이 계속 하늘에 떠있는 것은 구름 안의 물방울들이 계속 상승하며 이동하며 압력, 온도, 습도 등의 조건에 따라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하늘에 떠있는 이유는 대기상공에서 바람이 불지 않는 이유입니다.

    마찬가지로 구름이 움직이는 것은 대기상공에 많인 바람이 불고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구름도 물방울 알갱이들이 모이면 대지로 떨어집니다.


  • 구름이 가볍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람에 의해 계속 위에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다가, 물방울이 무거워지면 비가 내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