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는 주식 시장에서 왜 저평가를 받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코스피 대 상승장속에서
실적 안좋은 대형주들도 가파른
상승을 하고 있는데
현대차는 대형주로서
실적도 받쳐주고 경쟁력도 있는
회사로 알고 있는데
주식 시장에서는 상당히 저평가를
받고 있는것 같은데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현대차는 주가수익비율이나 주가순자산비율 등 주요 지표가 낮은 저평가 상태인데, 이는 전기차 전환 지연, 관세 리스크, 지배구조 불확실성 등의 요인이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현대차가 주식 시장에서 저평가를 받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한국에 위치한 기업이기 때문에 저평가를 받는 것도 그 이유 중에 하나이고
현 시점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관세 문제로 인해서
저평가를 받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현대차는 올해 미국 관세에서 가장 즉각적으로 피해를 보고 가장 영향력을 보이는곳이 현대차입니다.
그이유는 미국에서 자동차수출이 국내 수출에서 가장 비중이 큰 1위 산업이며 소비재로서 유럽이나 일본 미국완성차들과 경쟁이 매우 심합니다. 즉 가격전가가 매우 힘들고 이로인해서 실적우려가 올해 그리고 아직 한국과 미국의 협상 타결이 완전히 안되면서 이로인하여 주가가 상승 모멘텀을 쉽게 받지 못하고 있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대차가 우수한 실적에도 저평가되는 가장 큰 이유는 미래 성장 동력에 대한 시장의 우려 때문입니다. 특히, 전기차, 자율주행 등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 기업 대비 기술 경쟁력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인식이 존재합니다. 또한, 낮은 주주환원율과 복잡한 순환출자형 지배구조가 기업가치를 낮추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됩니다. 실제로 현대차는 순자산 대비 주가가 1 미만으로, 보유 자산 가치만큼 시장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현대차가 주식시장에서 저평가가 되는 이유는 현대차의 실적은 꾸준히 나오지만 글로벌 시장에서의 수익이 정체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함니다. 이러한 수익성이 성장해야 주식시장에서 그 인정을 받을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하며, 현재의 상태에서는 저평가가 계속될것이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동일한 산업군내에서 평균 PER이 10~12 정도 입니다. 현대차는 PER이 8~9배로 주가가 저평가되었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있었죠.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현대차는 실적 대비 낮은 PER을 보이지만 순수 전기차 밸류를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지배구조 불확실성과 대주주 리스크가 할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전동차, 자율주행 사업 분리 상장이 현실화될 때 재평가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현대차의 경우 올해 3분기부터 대미 관세 25%를 모두 부담하게 되면서 순이익이 급감할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하지 못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지 경제전문가입니다.
현대차는 자산가치 대비 주가가 매우 낮은데, 이는 그동안 자기자본이 과다하게 쌓여 있음에도 주주환원에 소극적이었기 때문입니다. 주가 관리 정책 부재: 국내 기업들이 목표 주가 제시나 주주 커뮤니케이션에 미국 기업보다 소극적인 것도 저평가 요인으로 꼽혔습니다. (다만, 최근 현대차는 배당 확대 및 자사주 매입/소각 등 주주환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며 이 문제를 해소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현대차는 현재 실적은 좋지만 미래 모빌리티 시대의 경쟁력과 구조적인 리스크(노조, 통상) 때문에 시장에서 성장주보다는 가치주로 분류되며 보수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