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쓰나미가 일어나기 전에 바닷물이 빠지는 이유가 뭔가요?

제가 요즘 쓰나미가 알고 싶은데요 보통 쓰나미가 일어나기 바로 전에는 바닷물이 많이 빠지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런 원리는 어떤 과학적 원리가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형민 전문가
      이형민 전문가
      영남대학교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쓰나미가 일어나기던에 바닷물이 빠지는 이유는 판끼리 충돌로 물이 일시적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쓰나미가 일어나기 전에 바닷물이 빠지는 이유는 해저 지반의 급격한 변화 때문입니다. 지진이나 화산 폭발과 같은 해저 지형 변화가 발생하면, 엄청난 양의 해수가 순식간에 이동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해안가에서는 수위가 급격히 낮아지면서 물이 빠져나가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물통 하나의 물을 한쪽 쪽으로 급격히 기울이면 반대쪽 물이 빠지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진이 해저에서 발생하면 지진파가 바닷물을 위아래로 흔들어 바닷물이 빠지거나 물이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쓰나미가 발생하기 전에 바닷물이 빠지는 것을 미리 경고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주 올라오는 질문중의 하나 입니다. 사실 모든 쓰나미가 발생전에 바닷물이 빠지진 않는 다고 합니다. 주로 지진 이후에 몰려오는 파도중 1미터 이상의 파도가 예상되면 쓰나미 주의보가 내려지고 3미터 이상이 될경우 쓰나미 경보가 내려집니다. 지진이라는건 대륙지각과 해양지각판 사이의 경계면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이러한 지각에서 발생한 에너지가 바다에 전달 되어 파도 형식으로 만들어 지게 됩니다. 이 에너지가 해양지각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해양 지각이 이동하거나 부숴지거나 아래로 하강을 하기도 하는데 이때문에 물이 밀물과 썰물 처럼 빠져나가는 현상이 보이기도 합니다. 지진이 발생하면 기본적으로 평소와는 다른 밀물과 썰물 흐름이 발생하기 때문에 단순히 물이 빠져나가는 전조 현상으로 쓰나미가 오는 것을 예측하지는 않는 다고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큰 파도가 오기 위해선 파도가 높아야 합니다.

      높은 파도가 생기기 위해선 높아진 만큼의 물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물이 빠지는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속에서 지진이 일어나면 해양지각이 움푹커지기 때문에 이 움푹꺼지는 부분으로 바닷물이 빨려내라가며 다시 지각이 올라오면 빨려들어간 바닷물이 올라오는 과정에서 큰 해일이 만들어저 해안으로 몰려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