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연말정산 이미지
연말정산세금·세무
연말정산 이미지
연말정산세금·세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08.25

주말 아르바이트 세금에 대해 질문해요.

일주일에 2번 토,일 주말 아르바이트로 8시간씩 근무하고있습니다.

세금은 원래 회사와 본인이 반반? 나눠서 내는걸로 알고 있는데.

회사의 자율인가요? 세금이 8.9% 공제되고 입금이 됐는데.. 왜 저만 이렇게 내는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김형건 세무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문해주신 주말 아르바이트 세금 관련, 질문자님만 부담한다면 그건 불공평하겠죠

    하지만 질문자(근로자)님이 부담하는 금액만 8.9% 라는 겁니다.

    회사에서도 내는 것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진실한거위208
    진실한거위20820.08.26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최영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세금이 아니라 4대보험을 말씀하시는거 같습니다.

    4대보험에 사용자부담분과 근로자부담분이 있어 50%씩 부담을 하게됩니다.

    만약 회사가 근로자부담분까지 부담한다면 그 또한 근로소득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설민호 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8.8%원천징수 된 것으로 보입니다. 회사가 임의로 선택하는 것은 아니고, 아르바이트의 소득원천에 따라 구별되는 것입니다. 일시적으로 인적용역을 제공하고 받는 대가는 기타소득에 해당합니다.

    회사와 본인이 반반 나누어 내는 것은 4대보험중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입니다.

    [출처: https://brunch.co.kr/@yongtax/9]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이영우회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근로소득으로 지급받을 경우 4대보험 + 원천세 포함하여 그 정도 공제되는 것이 맞습니다.

    고용보험, 건강보험, 국민연금은 사업주가 절반을 부담하는 것이 맞지만, 고용보험과 원천세는 본인이 전부 부담하여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해당 소득을 정확히 어떤 명목으로 지급받았는 지에 따라 원천세율이 달라집니다. 일반 근로소득인지, 일용근로소득인지, 사업소득인지, 기타소득인지에 따라 그 원천세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김란진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는 근로자가 모두 부담하는 것이며

    건강, 연금보험의 경우 사업주 50%, 근로자 50% 부담하여 납부합니다

    (고용은 80/180 근로자 부담, 100/180 사업주 부담, 산재는 사업주 100%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