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1.11

한국의 고령화가 경제영향이 큰가요??

안녕하세요. 요즘 뉴스를 보니까 한국의 고령화가 심하다고 하는데 노인빈곤율도 심각하구요. 이러한 고령화가 한국경제에 어떤 경제영향을 미치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구 고령화의 주요 경제적 영향 중 하나는 경제 성장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경제 활동 참여율의 감소입니다. 인구에서 고령자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일할 수 있는 사람이 줄어들어 경제 성장이 둔화될 수 있습니다.

    인구 고령화는 또한 연금 및 의료와 같은 사회 복지 시스템에 압력을 가하여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 지출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는 세금을 인상하거나 더 많이 차입해야 할 수 있으며 이는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인구 고령화의 또 다른 경제적 영향은 저축률 감소로, 이는 투자 및 경제 성장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고령자는 저축을 적게 하고 소비를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저축률 감소와 경제 투자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고령화 사회가 된다면

    노동인구도 줄어들며 소비여력이 큰

    젊은 인구 등이 줄어들어 내수 시장이 비활성화 될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일본처럼 고령화가 심해지면 일단 노동하면서 세금을 납부하는 인력보다 국가 부양정책을 받는 인력이 많아서 점점 국가에 부담이 높아지고 결국 그건 근로자들 세금 증가로 고스란히 넘어가게됩니다. 반복되면 악순환이겠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1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급속하게 진행되는 고령화는 경제 전반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칩니다. 무엇보다도 저출산·고령화는 경제 전체에서 생산활동에 주력할 수 있는 일할 사람 수를 줄이게 되죠. 이에 따라 성장률이 하락하고 저축률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자본축적의 저하 등으로 이어져 결국 경제의 생산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한마디로 경제 활력이 저하될 수 있어요. 한편 고령인구가 늘어나면 노인건강 유지를 위한 보건수요도 따라서 늘어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건강보험 등에 대한 정부지출 증가로 정부재정이 악화될 수 있어요. 또한 고령인구가 늘어나면 은퇴 이후의 경제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노후자금 마련도 커다란 문제가 됩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는 다른 나라와는 달리 가계자산이 금융자산보다는 주택 등과 같은 실물자산에 편중돼 있어 주택가격의 변동 여하에 따라 은퇴한 고령세대의 노후생활이 크게 어려워질 가능성도 있어요. 나아가 고령화로 인해 일하는 젊은 세대가 고령세대를 부양해야 하는 부담이 그만큼 증대되기 때문에 세대간의 갈등이 유발될 가능성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