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든 입으로 넣는 아기 버릇, 언제쯤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저희 아기는 식탐이 아주 많습니다. 무조건 입에 가져단 넣는데 13개월 됬습니다. 이거 언제쯤 사라질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기가 입으로 물건을 넣는 습관은 일반적으로 생후 6개월부터 시작되며, 대부분의 경우 만 2세 이전에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그러나 일부 아기들은 이 습관이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입에 물건을 자주 넣는 행동은 정상적인 발달 과정의 하나로, 큰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구강기는 생후 0∼18개월 사이의 시기로 이 시기 아기들은 입, 입술, 혀, 잇몸 등 구강 주위의 자극을 통해 생리적 욕구를 충족합니다. 아기들은 이 시기에 젖병을 빨거나 손가락 등을 빨며 세상을 처음으로 탐색하기 시작합니다.
보통 생후 18개월까지 지속되지만, 아이들마다 발달속도에는 차이가 있어서 빨리 끝나거나 혹은 더 늦어 질 수 있으니 조급해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 )
1명 평가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발달과정중 하나입니다.
탐색하는 과정중 하나이죠. 치발기나 안정한 장난감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18개월 이후로는 대부분 아이들이 이 행동이 줄어들기 시작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13개월 아기가 식탐이 많고 무엇이든 입에 넣는 행동은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 중 하나입니다. 아기들은 이 시기에 다양한 물건을 입에 넣어 탐색하며 세상을 배웁니다. 일반적으로 이런 행동은 18개월에서 2세 사이에 점차 줄어들고 사라지게 됩니다. 이런 행동을 보이는 시기에는 아기의 안전을 위해 작은 물건이나 위험한 물체를 멀리 두고, 식사 시간에는 건강한 음식으로 만족감을 줄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아이들의 경우에는 태어나서 각 시기별로 성장을 합니다. 처음에는 구강기를 거치게 되는데 이시기에 모든것을 입에 넣는다고 합니다. 입에 넣기 시작해서 욕구를 충족시킨다고 하는데 이는 돌이 지나기 시작하면 다른쪽으로 유도를 해줘야합니다. 이시기에 습관이되면 손가락을 계속 빤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가 무엇이든 입에 넣는 버릇은 생후 6개월부터 시작해 보통 2세 전후로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이 시기는 아이가 세상을 탐색하고, 감각을 통해 학습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입에 넣는 습관은 점차 줄어들며, 이 과정에서 부모는 안전한 물건만 손이 닿도록 하고, 서서히 다른 감각적 경험으로 관심을 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보통 생후 1년 전후를 구강기로 보고 이시기에 아기들은 뇌발달이 이루어지고 입으로 모든것을 탐색하는 시기입니다. 입을 통해 물건을 인지하고 맛도 보고 빨아도 보며 쾌감을 느끼고 새로운 것을 탐색하는 하나의 과정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무엇이든 입에 넣고 탐색을 하는 행동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없어지게 됩니다. 탐색이 이루어지는 시기에는 입에 넣어도 무해한 놀잇감과 물건들을 자주 세척해주고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탐색을 할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지금 아기는 입으로 세상을 탐구하는 시기입니다. 손에 잡히는 무엇이든 입으로 가져 감으로써 무엇인지 탐색하는 시기죠. 아기가 이렇게 하는 게 전혀 이상한 게 아니라 당연한 것이기 때문에 너무 놀라지 마시고 주변에 아이가 갖고 노는 장난감이나 주변 환경들을 깨끗하게 닦아 주시고 청소를 잘해주셔야 합니다. 보통 첫돌, 생후 12개월 무렵까지 해당 행동을 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직 13개월이면 그 버릇이 지속될 수 있어요. 대개 2세 정도가 되면 나이진다고 보시면 되는데, 해당 행동을 하지 않을 때 긍정적인 말을 해주고 부모님이 먼저 모범을 보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