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햇빛을 받으면 비타민 d가 생성되나요??
안녕하세요!!
햇빛을 피부로 받으면 마치 식물이 광합성을 하는 것처럼 비타민 d가 생성된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어떻게 햇빛을 받는다고 비타민이 생성되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콜레스테롤이 대사되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이라는 물질이 만들어집니다.
이것이 자외선에 노출되면 분자의 스테로이드 결합을 끊게되고 프리-비타민D3가 됩니다.
프리비타민D3는 온도에 의해 의해 여러 형태로 변하는 이성질체화 반응이 일어납니다.
프리비타민 D3의 절반은 비타민D로 변합니다.
피부에서 만들어진 비타민D는 혈액으로 흡수되어 간, 신장을 거쳐 활성이 있는 구조로 변합니다.
흡수되지 못한 비타민D는 자외선에 의해 활성이 없는 다른 형태로 변합니다.
햇빛에 의한 비타민 D 생성 과정은 피부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입니다. 피부에 있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라는 물질이 자외선 B(UVB)에 노출되면 분자 구조가 변화하여 프리비타민 D3로 바뀝니다. 이후 체열에 의해 프리비타민 D3가 비타민 D3로 변환됩니다. 이 비타민 D3는 혈류를 통해 간으로 이동하여 25-하이드록시비타민 D로 변환되고, 다시 신장에서 최종적으로 활성형 비타민 D인 1,25-디하이드록시비타민 D로 전환됩니다. 이 과정은 식물의 광합성과는 다르지만, 햇빛 에너지를 이용해 필수 영양소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백찬양 전문가입니다.
몸안에 있는 콜레스테롤부터 비타민D가 생성되는데 각각 피부, 간, 신장을 거치면서 대사되어 비타민D가 되는 것입니다.
이때 피부에서는 햇빛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햇빛을 받으면 비타민 D가 생성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햇빛에는 자외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자외선은 우리 몸에서 비타민 D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외선은 피부에 흡수되고 그 과정에서 피부 내부에 있는 콜레스테롤이 활성화됩니다. 이 활성화된 콜레스테롤은 간으로 이동하고 간에서 비타민 D로 변환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도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햇빛을 받는 시간이 중요합니다. 햇빛이 가장 강한 시간대인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 사이에 햇빛을 받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피부 면적도 중요합니다. 피부 면적이 넓을수록 더 많은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얼굴과 팔 다리 등을 노출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거나 옷으로 피부를 가리는 경우에는 자외선이 피부에 흡수되지 않으므로 비타민 D 생성에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비타민 D는 우리 몸에서 지속적으로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매일 일정량의 햇빛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햇빛이 부족해지므로 비타민 D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렇게 햇빛을 받으면 비타민 D가 생성되는 과정을 알아보았는데 비타민 D는 우리 몸에서 칼슘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충분한 양을 섭취하는 것이 건강에 매우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원래 비타민은 체내에서 합성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유일하게 지용성 비타민인 비타민D는 체내 합성이 가능한데요, 비타민 D는 피부 세포에 있는 7-디히드로콜레스테롤이 햇빛 중의 자외선을 받아 형성되는 것입니다. 자외선을 받은 7-디히드로콜레스테롤이 비타민D3로 전환되며 지방 세포에 저장되고 이후 비타민 D3가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간에서 한번 수산화되어 칼시다이올(25-hydroxyvitamin D)이 되고, 신장에서 다시 한번 수산화 되어 칼시트라이올(1,25-hydroxyvitamin D)이 되어 세포 내로 들어가 활성형으로써 작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자연적으로 비타민D를 보충하기 위해서는 피부에 최소 20분 정도의 햇빛을 쬐어 주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햇빛은 우리 몸에서 비타민 D를 자연스럽게 생성하는 것을 돕습니다. 피부에 노출된 햇빛은 자외선B 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것이 우리 몸에서 비타민 D를 생성하는 데 필요합니다.
피부에 UVB가 노출되면, 기름짐이 많은 피부층인 표피세포에서 프리비타민 D3가 생성됩니다. 이 프리비타민 D3는 간에서 처리되어 혈액으로 전달되며, 그 후 신장에서 활성 비타민 D로 전환됩니다.
피부에 자외선 B (UVB)가 닿으면 7-데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라는 물질을 생성합니다.
7-데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자연스럽게 비타민 D3로 변환됩니다. 비타민 D3는 간으로 이동하여 25-하이드록시비타민 D3 (25(OH)D3)로 변환되고, 25(OH)D3는 신장으로 이동하여 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1,25(OH)2D3)라는 활성형 비타민 D로 변환됩니다.
1,25(OH)2D3는 소장에서 칼슘 흡수를 촉진하여 뼈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우선 비타민 D의 합성은 피부에서 만들어집니다. 피부안에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라는 화합물이 존재하는데, 이 물질은 자외선 B(UVB) 광선에 반응합니다. 햇빛을 통해 UVB 광선이 피부에 도달하고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화학적 변화를 겪어 프리비타민 D3로 변환됩니다. 이 과정은 매우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햇빛을 받는 즉시 시작됩니다.
그 다음 프리비타민 D3는 체내 온도에 의해 비타민 D3로 변환됩니다. 이 과정은 피부에서 자연적으로 일어나고 비타민 D3는 아직 활성 형태의 비타민 D가 아니라서 바로 사용하지는 못합니다. 간과 신장을 거쳐야 활성화되어야 하고 피부에서 생성된 비타민 D3는 혈류를 통해 간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간에서는 비타민 D3가 25-하이드록시비타민 D로 변화하는데 이 반응은 간의 효소에 의해 촉진되고 25-하이드록시비타민 D는 비타민 D의 주요 순환 형태이기 때문에 돌아다닐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단계의 비타민 D는혈중 농도를 측정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이후, 25-하이드록시비타민 D는 다시 혈류를 통해 신장으로 이동합니다.
그다음 신장에서는 25-하이드록시비타민 D가 칼시트리올로 변환됩니다. 칼시트리올은 비타민 D의 활성 형태로, 체내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생물학적 역할을 합니다. 먼저 칼시트리올은 장에서 칼슘과 인의 흡수를 촉진하고, 뼈의 형성과 유지, 면역 기능 조절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 활성 비타민 D는 우리의 뼈 건강을 유지하고,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결국 햇빛을 통한 비타민 D 합성 과정은 인체의 자연스러운 반응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충분한 햇빛을 받지 못하는 경우, 예를 들어 겨울철이나 자외선 차단제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 비타민 D 결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품이나 보충제를 통해 비타민 D를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타민 D가 풍부한 식품으로는 지방이 많은 생선, 달걀노른자, 강화된 유제품 등이 있습니다.
즉 정리하면 햇빛을 통해 비타민 D가 생성되는 과정은 피부에서 시작하여 간과 신장을 거쳐 최종적으로 활성 비타민 D가 생성되는 복잡한 생화학적 경로를 따릅니다. 이 과정은 우리의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특히 뼈 건강과 면역 기능에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햇빛 노출과 식이 섭취를 통해 비타민 D의 적정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햇빛에 노출되면 피부의 7-dehydrocholesterol 이 UV B를 흡수하고 프리비타민 D3로 전환하게 됩니다. 이후, 다시 비타민 D3로 이성질체화 반응을 거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