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블랙홀 개념을 최초로 제안한 인물은 누구며, 실질적으로 최초로 수학적 계산을 성공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블랙홀 이라는 단어는

현대에는 익숙하지만

실제 이것이 최초로 사용된 것은

1964년

과학기자 앤 어웡이 미국과학진흥협회의 회의 에서

처음 기시제목으로 사용하면서 처음 사용되었는데요.

하지만 단어가 그때 처음 사용된거지

실질적인 개념이 나온것은 먼 과거로 알고있습니다.

애초에는

거대한 질량을 가진 천체의 중력이 빛의 입자를 땡겨서 빛이 탈출 못하는 천체로 생각되었으나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 이후 시공간의 휘어짐으로 중력을 다르게 바라보게 된 것인데요

어떻든간에

빛이 탈출하지 못한다는 블랙홀의 개념을 최초로 제안한 인물은 그럼 누구인가요?

그리고

향후 그 블랙홀의 개념을 단순히 개념이아닌

수학적인 계산을 통해 증명해낸 사람은 누구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블랙홀(black hole)은 중력이 매우 강하여 빛조차 탈출할 수 없는 시공간상의 중력 특이점으로 대표되는 천체를 말합니다. 블랙홀이라는 개념은 1783년 영국의 존 미첼에 의해 제안되었습니다. 존 미첼은 탈출 속도 개념을 이용하여 블랙홀의 개념을 설명하였습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탈출 속도가 광속 이상인 천체에서는 빛조차 빠져나올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는 이 별의 빛이 우리에게 도달하지 못하므로 검은색의 공처럼 보일 것으로 생각하고 ‘어두운 별(dark star)’이라고 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블랙홀의 개념을 최초로 제안한 사람은 존 미셸이라는 영국의 자연철학자이며 그는 1783년 빛이 중력에 의해 탈출할 수 없는 어두운 별의 존재 가능성을 제안하였고 뉴턴 역학과 입자설 기반의 빛 개념을 통하여 어떤 별이 너무 크고 밀도가 높게 된다면 빛조차 그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탈출하지 못한다는 블랙홀과 관련된 물리적 직관의 시초를 들게 되었지요. 이후 아이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통하여 중력이 질량에 의해 시공간을 휘게 만들고 곡률이 물체의 운동을 결정한다는 패러다임 전환을 이루게 되었고 블랙홀은 더이상 무거운별이 아닌 시공간이 무너지는 지점으로 개념을 재정의하게 됩니다. 그 다음해 카를 슈바르츠실트는 이를 정확한 해를 최초로 계산하였고 정지해 있는 구형 질량체의 중력장을 설명하며 중심에 특이점이 존재함을 보여주게 합니다. 이후 1967년 블랙홀이라는 단어를 최초로 도입한 것은 존 휠러이며 이후 로저 펜로즈, 스티븐 호킹등의 학자들에 의해 블랙홀에 대한 내용이 좀 더 정교해지게 되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