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자동차

한가한베짱이251
한가한베짱이251

자동차 운전을 하면 앞 차가 과속방지턱 끝에서 한쪽 바퀴만 넘기는데 이유가 뭔가요?

자동차 운전을 하다 보면 과속방지턱을 자주 만나게 됩니다. 대부분 사람은 속도를 줄이고 넘어가는데 일부 운전자 중에 속도는 줄이지 않고 방지턱 끝으로 이동하면서 한쪽 바퀴만 넘어가는데 이러한 이유가 있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

    대부분의 자동차 운전자는 방지턱위로 올라갈경우 크게 차가 철렁이기 때문에 과속방지턱 끝쪽으로 가서 방지턱의 영향을 받지 않으려고 하는 겁니다. 크게 출렁이는게 운전하면서 매우 불편하게 느껴지기 때문이에요

  • 가끔 지나가다보면 이런 장면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간단하게 보면 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이런 방법을 쓰는 운전자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한쪽바퀴만 넘게 하려다 사고가 날 수 있는 점이 있기에 옆차선 차와 보행자에 안전에 유의하면서 하셔야 됩니다.

    그리고 굳이 한쪽만 넘기지 않아도 되요.

  • 도로에서 과속 방지턱을 만났을때 도로 끝으로 가서 한쪽 바퀴부분만 과속방지턱을 넘는 운전하는 이유는 이렇게 운전하게 되면 자동차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먼저는 저의 생각은 개개인이 운전하는 스타일은 성격하고도 연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성격이 급한 사람은 운전스타일이 약간은 난폭한 편이죠~~방지턱에 한쪽바퀴만 올리고 넘어가는 건은 그럴수 있다고 봅니다. 속도를 줄이지 않고 넘어갈때 득이 되는건 하나도 없다고 봅니다. 차에도 하부에 무리가 가겠지만 간혹 길가장자리에 움푹 페인곳이 많기 때문에 자칫하면 사고와도 연관이 있으니 안전운전이 최고에 베스트 드라이버 라고 생각합니다.

  • 그런 사람들은 속도를 줄이기 싫어서 그러는 거죠.

    과속방지턱의 목적 자체에 불만을 가진 운전자들도 많구요.

    브레이크 밟기 귀찮거나 급한 마음에 속도는 줄이지 않으면서 덜 충격받는 방향으로 턱을 넘을라는 행동입니다.

  •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이락고 생각합니다. 바퀴의 양쪽을 그쪽으로 넘길수 없으니, 한쪽을 넘겨서 부드럽게 넘어가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다만 이러한 한쪽 바퀴를 옮기는 것도 일정한 속도 이하여야 큰 충격없이 진행이 된다는 점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