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성실한독수리247
성실한독수리24722.06.04

족저근막염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 아시나요?

나이
39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족저근막염 진단을 받고 체외충격파 시술을 받았는데 잘 낫지 않네요. 아침만 되면 찌릿한 통증이 발 뒤꿈치에서 발생하는데 1년이 지나도록 잘 회복이 되질 않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아질까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서원 의사입니다.

    진단을 받으시고 치료를 잘 받고계시기 때문에 치료계획에 따르면서 경과관찰을 해보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다만 통증의 경우 증상이 심하다면 약물치료를 병행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족저근막염은 치료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장기간 체외충격파와 소염진통제를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발바닥 뒤, 발뒤꿈치 쪽이 보행시 아프다면 가장 흔하게 의심해볼 수 있는 질환은 족저근막염입니다. 족저근막염은 발바닥 근막과 발뒤꿈치 뼈를 연결하는 인대 부위의 염증이 발생하여 생기는 질환입니다. 하되도록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으며 운동은 발바닥에 부담을 주지않는 자전거타기나 수영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족저근막염은 쉽게 좋아지지 않고 만성적으로 통증을 유발하는 경과를 가지는데, 물리치료 등 여러 치료법이 존재하지만 실제로 아주 효과가 크지는 않으며 가장 근본적인 치료법은 발바닥에 자극이 가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능한 발바닥에 무리가 가는 동작 및 행동을 피해주시면서 경과를 지켜보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보통은 많이 걷거나 무리해서 운동을 하거나 딱딱한 신발을 신어서 발바닥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게 되면 생기게 되지요. 물론 그런 유발 원인이 있지 않다고 해도 발바닥에 자극이 되면 충분히 생길 수는 있습니다. 어쨌든 지금 상태에서는 앞으로 증상을 잘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가급적 많이 걷는 것은 피하시고 푹신한 운동화를 신고 다니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아침에 일어나서 수건으로 스트레칭을 잘 해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족저 근막염이 맞다면 6개월 이상의 장기간의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1년 이상 힘드시다고 해도 꾸준히 관리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6.06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무리하게 걷고 하서나 운동을 하고 발바닥 통증이 생긴다면 족저근막염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발바닥에 위치하는 근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충분한 휴식과 진통 소염제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정형외과에 가셔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미 그렇게 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족저근막염은 지속적으로 딱딱한 면에 발뒷꿈치가

    닿거나 무리하게 축구, 농구 등 지면에 충격을 주는 운동을 지속하는 경우에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쿠션이 있고 발볼이 넉넉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좋으며 자주 발을 마사지 해주는 것이 좋으며

    집에서 냉찜질을 자주 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가장 좋은 것은 걷는 것을 최소로 줄이고

    운동을 쉬는 것이 증상이 빨리 회복하는 방법이며 음주를 줄이고 체중을 줄이는 것 역시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족저근막염의 경우에는 증상이 잘 호전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일단 약물치료, 체외충격파 등의 보존적인 치료와 더불어 스트레칭, 발의 근육을 풀어주는 마사지 등을 시행하고 굽이 딱딱한 신발을 피하고 푹신한 신발을 신으며 바닥을 걷는 것을 피하고 쿠션감 있는 슬리퍼를 신고 다니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주사 치료를 시행해 볼수도 있습니다. 주사 치료는 족저근막의 급성 파열 위험이 있고 뒤꿈치 지방 패드의 위축을 초래할 수 있기에 반복적으로 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길면 6개월이상 지속되기도 합니다.

    1년이상 지속되는경우는 드물긴합니다.

    앉은 자리에서 아픈 발을 반대쪽 무릎 위에 올려 놓고 아픈 발과 같은 쪽의 손으로 발가락 부위를 감아 발등 쪽으로 천천히 올리면서 발바닥의 근막이 단단하게 스트레칭 되는 것을 느끼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족저근막염의 원인

    - 딱딱한 구두를 착용하였을때 원인이 됩니다.

    - 하이힐을 착용하였을때 원인이 됩니다.

    - 쿠션이 부족한 신발을 착용하였을때 원인이 됩니다.

    - 관절염이 있는 경우

    - 당뇨가 있는경우

    - 장시간 운동한 경우

    족저근막염의 치료

    정형외과 등에 내원하셔서 진단을 받으시고,

    소염진통제등을 처방받으실 수 있습니다.

    오랫동안 서있는 것을 자제하셔야합니다.

    발꿈치 스트레칭으로 족저근막을 늘려주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보통은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은데 너무 오래가시네요. 발내재근 강화운동과 아킬레스건 스트레칭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많이 걷으신다면 보행수를 줄여주시는것도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