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수신료 정책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국회 청문회과정에서 모바일 방송 수신료 정책이 나오던데요, 이것은 어떠한 정책인지 설명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kbs가 2,500원을 받고 있는데 스마트폰도 모두 tv를 볼 수 있으니 각각 수신료를 받아야 된다라고 해서요
민주당에서는 그러면 가족이 4명이면 네 명에게 다 수신료를 받아야 되느냐 요즘 누가 그렇게 tv를 본다고 그런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냐고 비판을 하고 있고요
KBS 사장후보자는 국민 정서와는 다른 소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애초 노래자랑이나 노인들이 보는 kbs 교양방송인데 노인들 뜯어먹는거인지 모르겠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모바일 수신료 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KBS 사장이 될 사람의 아이디어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이들에게 TV를 나오게 해주고 대신
수신료를 받게 하겠다라는 자신만의 아이디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제 시행중인 정책이 아니고, 박장범 KBS 사장 후보자가 수신료 분리 징수에 따른 수입감소 대안으로 제안한 정책인데요. 모바일 수신료 정책이란 전국민이 가지고 있는 휴대폰에 TV를 직접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해 수신료 징수 범위를 늘리자고 한 것인데, 야권에서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질타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모바일 방송 수신료 정책은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해 공영방송을 시청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수신료를 부과하겠다는 방안으로, 기존 TV 수신료 체계를 확장하려는 취지입니다. 이는 미디어 소비 형태 변화에 따라 공영방송의 재원 확보를 위해 제안된 것이지만, 이용자 부담 증가와 형평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휴대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 등에
TV 수신료 등을 부과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TV 수신료를 추가적으로 받기 위해서 생각해낸 방법으로 핸드폰에 TV 기능을 넣어서 모바일 수신료라는 항목으로 돈을 못하는 의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