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라나라에들어온 외국어종 중에배스가
우리나라어 들어온 외국어종 중에 배스가 생태계 교란
어종이라고하는데 반대로 우리나라의 어종이 외국에서
이런취급을 받는 경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 배스가 생태계 교란 어종으로 지정된 것처럼
미국에서는 한국에서 건너간 가물치가 대표적인 생태계 교란 어종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미국에 가물치에 대한 천적이 딱히 없고 환경이 맞아 가물치가 엄청난 번식력을 보이며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늘었습니다.
가물치는 미국 토종 물고기와 가재 등을 잡아먹어 생태계에 교란을 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어종 중에서도 외국에서 생태계 교란 어종으로 취급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붉은귀거북이 있습니다. 이 거북은 한국에서 애완동물로 많이 키워지다가 해외로 유출되었는데, 이후 여러 나라에서 생태계를 교란하는 침입종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또한, 참게와 미꾸라지도 다른 나라로 유입된 후 그 지역의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문제를 일으키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이처럼 특정 지역의 종이 다른 지역에서 교란종으로 변하는 경우는 종종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북미나 호주 등에서는 한국산 가물치(snake head)가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인식되어 교란어종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생태계 교란 어종은 원래 서식지 외의 지역으로 이동하여 그 지역의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종을 의미합니다. 한국 어종 중 일부가 다른 국가에서 교란 어종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우리나라의 대표적 담수어종인 가물치(Channa argus)가 미국의 하천이나 웅덩이로 이입돼 작은 물고기나 개구리 등을 왕성하게 잡아먹으면서 현지 수생태계를 교란하는 침략적 외래생물로 지정되어 퇴치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