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숩숩숩
숩숩숩

미토콘드리아의 독립적인 DNA는 진화의 어떤 증거를 제공하나요?

안녕하세요. 생물학- 미토콘드리아에 관련된 질문이 있어서 여기 남겨봅니다. 미토콘드리아의 독립적인 DNA는 진화의 어떤 증거를 제공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미토콘드리아가 독립적인 DNA를 가지고 분열도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점은 미토콘드리아가 현재 자신이 들어있는 세포와 다른 곳에서 기원했다는 점을 알려줍니다.

    미토콘드리아가 없는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가 있는 세포로 진화할 때 그 과정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미토콘드리아는 과거 독립적인 호기성 세포였지만, 다른 세포에게 식세포작용으로 먹히게 되었는데,

    소화되지 않고 세포내에서 공생하게 되었고 시간이 지나 세포소기관으로 자리잡게 되었다고 봅니다.

    이를 세포내 공생설이라고 합니다.

    이를 뒷받침하는 다른 증거는 미토콘드리아의 막은 외막과 내막의 두겹으로 되어있다는 점 입니다.

    이는 식세포과정에서 먹는 세포가 먹히는 세포를 세포막으로 감싸면서 먹게되는데 이 결과로 두겹의 막을 가지게 되었다고 유추할 수 있습니다.

  • 미토콘드리아의 독립적인 DNA는 진화를 뒷받침하는 여러 중요한 증거를 제공합니다.

    미토콘드리아는 독자적인 DNA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과거 독립적인 세균이었음을 시사합니다. 현대 진핵세포가 원시 세균을 삼켜 공생 관계를 형성하면서 진화했다는 세포내 공생설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근거입니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이 과정의 흔적이며, 진핵세포 형성 과정에서 일어난 진화적 사건을 보여주는 직접적인 증거입니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DNA는 핵 DNA보다 변이 속도가 빠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과학자들은 미토콘드리아 DNA의 변화를 추적하여 생물의 진화 역사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히 모계 유전되는 특성 때문에 인류의 기원과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데 유용한 역할을 합니다.

    게다가 미토콘드리아 DNA는 서로 다른 종 간의 유전적 차이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생물 간의 진화적 관계를 정확하게 분류하고 계통수를 작성하는데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을 통해 인간과 침팬지의 공통 조상이 약 600만 년 전으로 추정되었습니다.

    그리고 미토콘드리아 DNA는 핵 DNA와는 별도로 돌연변이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돌연변이는 종종 질병과 관련이 있으며,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와 같은 유전 질환의 원인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DNA의 돌연변이 속도를 분석하여 진화 속도를 추정하는데에도 활용됩니다.

  • 미토콘드리아의 독립적인 DNA는 '내공생설'을 지지하는 중요한 증거로, 진화의 복잡성을 보여줍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미토콘드리아는 원래 독립적인 박테리아였다가 원핵생물에 흡수되어 세포 내 기관이 되었습니다. 미토콘드리아 DNA가 핵 DNA와 다르고, 박테리아의 DNA와 유사한 특징을 가진 점, 자체적으로 복제하는 능력, 그리고 모계유전 패턴을 보이는 점 등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이는 생명체의 진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생물 간의 공생관계가 새로운 복잡한 생명체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진화의 다양한 경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미토콘드리아'의 경우 다른 세포소기관과는 다르게 세포핵과 구분된 독립적인 환형의 DNA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세포공생설을 뒷받침하는 증거 중 하나입니다. 이때 세포공생설이란 자신의 유전정보, 즉 게놈을 가진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는 원래 독립 생명체였는데, 진핵생물에게 잡아먹힌 뒤 그 세포 내부에서 공생하게 되었다라는 이론으로 진핵생물의 진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가설입니다.

  •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속의 작은 기관으로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토콘드리아는 독립적인 DNA를 가지고 있고, 이는 진화의 중요한 증거 중 하나입니다. 미토콘드리아의 DNA는 세포핵의 DNA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세포핵의 DNA와는 독립적으로 복제되며, 진화 과정에서 독립적인 유전자 변이를 겪을 수 있습니다. 이는 미토콘드리아 DNA가 다른 세포핵 DNA와는 별개로 진화의 증거를 제공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미토콘드리아는 고유한 DNA를 가지고 있으며, 이 DNA는 세포핵의 DNA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토콘드리아의 독립적인 DNA는 진화의 증거로 사용될 수 있는데, 미토콘드리아는 과거에 원시 세포와 공생 관계를 맺은 고대 세포로부터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독립적인 DNA는 미토콘드리아가 원래는 원시 세포의 독립체였으며, 후에 세포 내부에 공생하면서 진화한 것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식물세포의 엽록체와함께 대표적인 세포공생설의 증거물로 이야기되고 있습니다.

    세포공생설에 따르면 과거 무산소호흡 또는 대사를 하던 원시세포에 우연히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가 침투하였고, 이 두 파트가 세포에게 에너지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을 내놓는 대가로 세포로부터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보호를 받는 이득을 얻었다고합니다.

    즉, 미토콘드리아도, 엽록체도 없던 무산소 세포가 미토콘드리아를 얻게되며 동물세포로 진화되고 엽록체를 얻게되며 식물세포로진화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었고 더이상 무산소호흡을 하는것이 아니라 외부 생물들을 포식하거나 광합성을 하는 방식으로 생존 방식을 변화시켜 더 번성할 수 있었다는것입니다.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해줄수 있는 증거 중 하나가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라는 세포소기관은 세포가 분열할때 독자적인 유전물질을 갖고 나눠진다는것이고, 이 독자적인 유전물질은 과거 세포공생이 이루어지기 전에 가지고있었던것으로 추정된다는것입니다.

    세포공생설을 지지할 수 있는 증거 중 하나로 작용한다는 것입니다.